[사설]끝없는 황사·미세먼지, 대책은 없나

2021-03-29     이재명 기자
울산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중국발 황사와 함께 미세먼지 농도가 올해 들어 최악 수준으로 치솟았다.

울산은 29일 오전 7시를 기해 초미세·미세먼지주의보가 발령됐다. 울산 지역의 1시간 평균 초미세먼지주의보 농도는 96㎍/㎥였다. 초미세먼지주의보는 시간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75㎍/㎥ 이상인 상태가 2시간 지속될 때 내려진다. 이어 이날 오전 8시에는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됐다. 이날 낮 12시에는 미세먼지 시간당 평균 농도가 688㎍/㎥까지 치솟았다. 이는 지난 2011년 5월2일 황사 경보가 발령됐을 당시 미세먼지 농도가 663㎍/㎥을 기록한 이후 10여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미세먼지 경보는 시간당 평균 농도가 300㎍/㎥ 이상인 상태가 2시간 지속될 때 내려진다. 오전 10시에는 황사경보까지 발효됐다. 하늘이 누렇게 보이고 차량이나 시설물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였다.

중국 발 황사와 미세먼지는 우리나라의 대기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중이 지난 2018년에 미세먼지 공동 대응에 대한 필요성에 공감하고 대기질 정보와 연구 성과를 공유하기로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했지만 그 동안 어떤 성과를 냈는지 양국 모두 발표하지 않고 있다.

미세먼지는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병을 악화하고,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 특히 코 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는 초미세먼지는 폐포까지 침투해 천식이나 폐 질환 유병률과 조기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세계보건기구는 미세먼지로 인해 매년 700만명이 조기 사망한다며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당 10㎍ 증가할 때마다 암 발생 확률이 12%, 기형아를 낳을 확률은 16% 높아진다고 한다. 한국과 중국간 정부 차원의 황사 및 미세먼지 저감 대책이 늦어질수록 국민들의 건강만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시민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미세먼지와 황사의 공습이 있을 때마다 조치를 해야 한다. 어린이·노약자·호흡기 질환자는 수술용 마스크나 면 마스크보다 황사·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을 막을 수 있는 KF94 또는 KF80 보건용 마스크를 써야 한다. 가정에서는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창문 등을 사전에 점검해야 한다. 또 노약자 등 황사에 취약한 계층은 실외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코로나19에는 백신이 있지만 미세먼지에는 백신이 없다는 말이 새삼 실감나는 시점이다. 중국 발 황사와 미세먼지가 발생할 때마다 외출 자제나 마스크 착용 등 똑같은 대책만을 반복할 것인지 답답한 노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