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 미래 사업 핵심 가치는 ‘인간중심’”
美 모빌리티 이노베이터스 포럼
현대車 스마트시티 자문단 운영
2050년 미래도시 프로젝트 진행
인류에 기여하는 혁신기술 도전
2019-11-10 이형중 기자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지난 7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모빌리티 이노베이터스 포럼(MIF) 2019’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시와 모빌리티, 인간을 위한 통찰력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스마트시티 자문단’을 구성하고 인류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도전을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인간을 위한 것이 아니라면 혁신적 모빌리티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며 “도시와 모빌리티는 그 시작부터 인간을 위해 개발되고 발전돼 왔다. 그러기에 현대자동차그룹은 넓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인간 중심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모빌리티를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간 중심의 모빌리티’ 개발철학은 사람과 사람을 단순히 연결하는 것을 넘어 인류의 삶에 보다 진정성 있게 공헌하는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를 준비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미래 기술에 인간 중심 기반의 인문학적 진보가 결합될 때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사회적 가치가 공평하게 배분된다는 신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 수석부회장은 그 노력의 일환으로 현대차그룹이 ‘스마트시티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스마트시티 자문단은 포용적이고 자아실현적이며 역동적 도시구현이라는 핵심 가치를 도출했다고 정 수석부회장은 설명했다.
또 정 수석부회장은 2050년 미래 도시의 정책과 구조의 변화를 연구하는 ‘미래도시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50 미래도시 프로젝트’는 각 지역의 유형별 특성에 따라 변화, 발전하게 될 미래 도시를 예측하는 공동 프로젝트로, 향후 새로운 사업기회와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개발 방향성을 제시할 지침서가 될 것이라고 현대차그룹은 전망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전기차, 마이크로 스쿠터 등 역시 땅 위를 다니는 또 다른 모빌리티에 불과하기 때문에 한정된 도로상황을 극복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새로운 모빌리티를 수용할 수 있는 도시계획이 함께 실현되지 않는 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혁신과 미래 기술 흐름을 선도하는 샌프란시스코에서 모빌리티 개발 방향성을 공개한 것은 혁신 생태계에서 게임체인저로서 위상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이 혁신 거점인 ‘현대 크래들’ 주관으로 올해 4회째 개최한 MIF에는 글로벌 기업 경영자와 석학,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해 ‘인간 중심 모빌리티’를 주제로 모빌리티 방향성과 혁신 비즈니스 등을 논의했다. 미국 도시개발 건축가로 잘 알려진 피터 캘도프를 비롯, H2에너지 롤프 후버 회장, 우버 엘리배이트 에릭 앨리슨 총괄, 리막의 마테 리막 CEO, 그랩 후이링 탄 공동창업자 등이 패널과 발표자로 참석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세계 최대 혁신도시에서 글로벌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개발 방향성에 대해 논의한 뜻 깊은 자리”라며 “현대차그룹은 인간중심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통해 인간의 꿈을 실현하고 사람들간의 교류를 증진시켜 인류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형중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