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소극적 자가격리 조치 문제 있어”

김성록 시의원 서면질문
전사적 행정 정책 수립 강조

2021-04-20     이왕수 기자
울산에서 최근 두 달 사이 코로나 확진자가 500명 이상 발생하고 주요 공공기관, 학교 감염도 잇따르는 상황에서 울산시가 소극적인 자가격리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질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울산시의회 김성록(사진) 의원은 20일 울산시에 대한 서면질문을 통해 “대전시의 경우 확진자 접촉자 전원 자가격리 조치를, 법무부는 본부 내 전 직원 검사 등 선제적·공격적으로 대응하는 반면 울산시는 최소한의 자가격리만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너무나 안이한 대처가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특히 “최근 시청, 경찰청, 학교 등 공공기관에서 코로나 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행정기관에서는 어떤 관점에서 관찰하고 있는지, 발생 상황에 대비한 대응 태세, 억제 방법이 무엇인지 밝혀달라”고 울산시와 시교육청에 각각 요구했다.

울산에선 지난해 2월 코로나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약 1년 2개월 동안 15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특히 최근 두 달 사이에만 5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왔고, 이달에는 30명 이상 감염자 집단이 4개나 발생하는 등 코로나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김 의원은 “이달 들어 울산시 전 사회 분야에서, 특히 공공분야에서 코로나가 급속히 퍼져 시민의 생명이 위협받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며 “전사적 행정 정책 수립과 실천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코로나 확진자를 치료할 의료기관 부족 문제도 꼬집했다. 그는 “이에 대한 긴급 대응 방안을 공개해달라”고 시에 요청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