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앞두고 예비주자들 ‘줄서기’ 본격화

지역·당협위원장 눈밖에 벗어나면 선출직 도전 물건너가
출마 염두에 둔 지역위장·선출직 현역들 스킨십 강화 나서
내년 대선 기여도·개별 경쟁력 따라 공천티켓 부여할 듯

2021-04-27     김두수 기자
울산지역 정치권이 내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 준비에 착수한 가운데 6개 지역구별 기초단체장과 시·구·군의원 출전을 준비중인 예비주자들이 지역위원장·당협위원장에 ‘줄서기’가 본격화 되고 있다. 차기 지방선거 예비주자들이 각 구·군별 지역위원장(더불어민주당)과 국회의원 겸 당협위원장(국민의힘)의 눈밖에 벗어나게 될 경우 선출직 도전이 물건너 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27일 여야 지역위원장과 당협위원장 겸 국회의원 등에 따르면 관내 5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민주당 소속 4명의 단체장과 현역 시·구·군의원들은 대부분 차기 선거 도전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민의힘 역시 재보선에서 당선된 남구청장을 비롯해 시·구·군의원 등은 차기선거 채비에 착수한 가운데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 패배한 예비주자들 역시 물밑 움직임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야 지역·당협위원장들은 하나같이 1차로 내년 3월 대선기여도와 함께 개별 경쟁력에 따라 공천티켓이 움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당협위원장들의 이러한 입장은 외형적으론 대선기여도와 경쟁력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차기총선(22대총선·2024년 4월중)의 사실상 ‘징검다리’격인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내사람 심기’를 통한 안전판을 만들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의 일환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민주당 관계자 등에 따르면 내년 3월 대선기여도와 함께 6월 지방선거 공천티켓이 별개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현역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의 차기 경쟁력은 결국 1차적으로 대선기여도에 따라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당 관계자는 “대선의 승패에 따라 각 지역위원장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선출직 현역 공직자들의 차기 지선 공천장 역시 연동되지 않겠느냐”면서 “지역위원장에 대한 평가는 다음(2024년) 총선에 있는 반면, 대선 직후 3개월 뒤인 지선에 대한 평가는 곧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때문에 지역위원장들과 선출직 현역 공직자들의 스킨십 역시 부쩍 강화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이런 가운데 현역 시·구·군의원 가운데 상당수 비례대표 의원들이 지역구 출마를 저울질하면서 지역위원장들과의 친밀도를 강화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지역구 지방의원들이 바짝 긴장모드에 들어갔다는 시각도 흘러나온다.

민주당은 현재 6개 지역위원장 가운데 동구와 울주군이 대행체제로 운영중이다.

하지만 대선과 지선이 임박해지면 새로운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중앙당 지도부의 판단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 내부조율이 예상된다.

국민의힘의 경우 관내 현역 기초단체장은 남구청장 뿐이다. 나머지 4개 구·군은 지역구별 예비 주자들의 날선 신경전이 벌써부터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부 지역구는 현역 국회의원 겸 당협위원장이 예비주자들을 놓고 역할분담을 통한 물밑 조율작업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 A국회의원는 “우리는 내년 3월 대선기여도 등 종합판단에 앞서 자체적으로 구청장과 시·구·군의원들을 조율한 뒤 자연스레 공천심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면서 “지방선거에 앞서 공천 잡음을 차단하고 본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봐달라”고 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선거 경험칙상 현역의원 또는 지역·당협위원장의 눈밖에 나게 되면 선출직 출마 자체가 여의치 않다”면서 “좋게 보면 조율이지만, 비판적 시각으로 보면 ‘줄세우기’가 아니겠느냐”고 했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