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먹고 사는 문제 실질적 성과 거둘 것”
문재인 대통령 취임 4주년, 특별연설 키워드 무엇을 담았나
30분간 진행된 연설에서
‘경제’라는 단어 48번 언급
“경제 코로나전 수준 회복”
일자리·신산업 육성 과제
반도체 산업 정부 힘 집중
부동산 문제 아쉬움 토로
檢개혁 등 정치이슈 빠져
평화 프로세스 진전 집념
대통령 취임 4주년을 맞은 10일 문재인 대통령이 발표한 특별연설의 키워드는 사실상 ‘경제 이슈’로 나타났다.
남은 임기 1년 동안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약 30분간 진행된 연설에서 ‘경제’라는 단어만 48번 언급했다. ‘국민’(29번)이라는 단어보다도 더 언급 횟수가 많았다.
문 대통령은 또 ‘코로나’라는 단어를 26번, ‘회복’이라는 단어를 21번씩 쓰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경제활력을 되찾겠다는 의지를 거듭 부각했다.
구체적으로는 일자리 문제 해결과 신산업 육성을 과제로 꼽았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라는 말을 15번 되풀이하면서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해 재정투입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 ‘반도체’라는 단어를 8번 반복했다. 글로벌 경제질서 재편 흐름 속에 세계시장을 선도할 경쟁력을 갖춘 반도체 산업에 정부의 힘을 집중해야 한다는 판단이 엿보인다.
경제 이슈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히는 부동산 문제는 연설 도중 5번만 언급하는 등 큰 비중을 두지는 않았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연설 뒤 이어지는 질의응답에서 부동산 정책을 두고 “죽비를 맞고 정신이 번쩍 들 만한 그런 심판을 받았다”고 표현해 강한 인상을 남겼다.
문 대통령이 경제상황과 관련해 ‘성과’라는 말을 두 번 쓴 것도 눈에 띄었다.
문 대통령은 먼저 우리 경제가 코로나 위기 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강조하면서 “경제 위기 속에서 꿋꿋이 견디며 이뤄낸 성과”라고 표현했고, 포용정책을 언급하면서도 “분배지표 개선의 긍정적 성과가 있었다”고 했다.
한국 경제의 현주소에 대해 지나친 비관적 평가를 경계하는 발언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일부에서는 경제에서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정책에 대한 반성보다는 긍정적 측면만 바라보며 기존의 국정운영을 이어가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특별연설문에는 또한 검찰개혁을 포함한 정치 이슈는 포함되지 않았다.
물론 연설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에서는 검찰개혁이나 인사청문회 등의 내용이 등장했지만, 사전에 문 대통령이 향후 국정운영 청사진을 담아 준비한 연설 원고에서는 이를 제외했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2019년 이른바 ‘조국 사태’ 및 지난해 ‘추미애·윤석열 갈등’을 거치며 국정운영 동력이 타격을 입었다는 점에서, 적어도 남은 임기 동안에는 진영대결에 갇히지 않겠다는 의지가 묻어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평화’에 대해서는 7번만 언급하는 등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정착 이슈에 할애한 분량도 많지는 않았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불가역적 평화로 나아가는 마지막 기회” “임기에 쫓기거나 조급해하지 않고 평화의 시계를 돌리는 데 온 힘을 다하겠다” 등의 발언을 통해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집념을 거듭 확인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