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주소 갖기 운동, 선언이 아닌 실질적 성과가 중요

2021-05-11     이재명 기자
울산시가 인구 감소 극복 방안의 하나로 ‘울산주거 울산주소 갖기 운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주소이전 챌린지’도 전개한다. 울산대학교 오연천 총장은 11일 총장실에서 ‘울산주거 울산주소 갖기’를 홍보하는 손팻말을 들고 사진을 촬영한 뒤 이를 온라인에 게재했다. 다음 주자는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 총장이다.

이번 운동은 늦었지만 울산시민들에게 인구 감소에 따른 위기감을 심어주는데 적지 않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항의 경우 올해 초 ‘범시민 주소갖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는 등 인구 51만명 사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구가 50만명 미만으로 떨어지면 경북 제1도시의 위상이 크게 추락할 뿐만 아니라 남·북구청이 폐지되고 현재 남·북구로 나뉘어져 있던 경찰서·소방서·보건소가 1개로 통합·축소돼 행정·안전·치안 서비스 분야 등에서 막대한 시민 불편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울산이 만일 인구 100만명 이하로 떨어질 경우 포항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충격에 휩싸이게 된다. 광역시 자체가 공중분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울산의 인구는 지난 3월31일 기준으로 112만9254명이다. 지난해 말 113만6017명에서 6763명이나 감소했다. 감소사유도 사회적 요인이 5456명이나 된다. 이런 속도라면 울산의 인구는 한 해에 2만명 이상 떨어져나갈 수도 있다. 방치하면 광역시 해제의 수순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안그래도 울산과 부산, 경남을 하나로 묶어 메가시티로 만들자는 여론이 비등한 마당에 울산이 인구 100만명 미만의 도시로 전락할 경우 울산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상상하기조차 꺼려진다.

이번 ‘울산주거 울산주소 갖기 운동’이 시민들에게 호소력 있게 다가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하고 강력한 운동 주체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실질적인 결과를 내놓아야 한다. 대부분의 민간 운동은 추진력이 약해 슬그머니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냥 한두번 흉내만 내고 용두사미로 끝낼 것 같으면 안 하는게 오히려 낫다. 잘못하면 시민들이 인구위기와 인구정책에 대해 둔감해지는 역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울산의 인구 유출은 대부분 직업, 주택, 교육에 기인한다. 따라서 울산시는 인구증가를 위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정책을 끊임없이 발굴하고 시행해야 한다. 그 중에서 ‘울산주거 울산주소 갖기 운동’은 민간이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인구 감소는 피할 수 없는 과제이다. 그러나 울산이 ‘지방소멸’을 우려해야 하는 막다른 골목에 몰리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