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그룹, 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40조투자 ‘보따리’ 풀듯
21일(이하 미국시간)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삼성·현대차·SK·LG그룹 등 국내 4대 그룹이 풀어놓을 ‘선물 보따리’에 재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4대 그룹 주요 기업인들은 21일 백악관에서 열릴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19~20일 이틀에 걸쳐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겸하고 있는 SK그룹 최태원 회장을 비롯해 김기남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회장, 공영운 현대자동차 전략기획담당 사장,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 등 4대 그룹의 반도체·전기차·배터리·바이오(백신) 책임자들이 미국 출장에 합류했다.
현재 4대 그룹이 미국의 공급망 강화와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그린뉴딜’ 정책 등에 선제 대응 차원에서 미국에서 계획중인 투자금액은 대략 40조원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조 바이든 대통령이 참석한 백악관 주최의 반도체 공급망 회의에 이어 20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가 주최하는 반도체 화상 회의에도 초청받는 등 미국측의 투자 압박을 받고 있어 이재용 부회장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발표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가 이중 절반에 달하는 20조원(17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라인 추가 증설을 준비중이다. 세부 인센티브 협상을 진행중인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이 가장 유력한 후보지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3일에 2025년까지 미국에 전기차 생산설비와 수소, 도심항공교통(UAM),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에 총 74억달러(한화 8조1417억원)를 투입하는 내용의 투자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추가 전기차 공장이 어디에 들어설지 관심이 쏠린다. 올해 상반기까지 후보지 검토도 마친다는 계획이다.
미국 조지아주에 배터리 1, 2공장을 건설·가동중인 SK이노베이션은 현재 3조원 규모의 3, 4공장 추가 건설을 검토중이다. 앞서 1, 2공장 투자금액 3조원을 합해 총 6조원이 투입되는 것이다. 최태원 SK 회장은 22일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도 방문할 예정이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