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지역경제 돌파구 특단의 조치

2021-05-24     김두수 기자

송철호 울산시 정부가 2022년 국가예산 확보 목표액 3조3445억원 가운데 1조4328억원에 대해 지역 정치권에 ‘SOS’를 요청한 것은 문재인 정부 임기 마지막해에 최대한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풀이된다.

지난 2018년 7월1일 출범한 송 시정부 역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 프로그램에 따라 중·대형사업에 대해 동력을 불어넣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불어닥친 코로나발 글로벌 팬데믹에 따른 경기위축과 함께 불확실성 지속을 타개 하기 위한 특단의 방안은 역시 최대한 국비를 확보 전략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본보가 지역국회의원협의회와의 정책협의회에 앞서 23일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시는 ‘시정여건’에서 글로벌 팬데믹에 따른 경기위축, 불확실성 지속을 우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관련해서도 온라인소비, 원격교육 등 비대면 수요 증가로 디지털화 등 4차 산업혁명 과정에서 우위 선점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기후위기인식 확산과 관련, 신재생에너지 전환과 자원순환 도시, 탄소중립 등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친환경·저탄소 경제로의 전면적 전환이 요구된다고 적시했다.

때문에 송 시정부는 ‘울산 재도약의 기틀 확립 ‘9 BRIDGES’와 관련된 주요 프로젝트와 관련된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등 9개사업을 제시했다. 모두 내년 국비 확보와 직접 관련되는 주요사업이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은 오는 2025년까지 1GW급, 2030년까지 6GW급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데 있다.

이는 정부주도 국산화 기술개발과 민간주도 발전단지 조성 투트랙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소경제다. 이 사업은 오는 2030까지 세계 최고 수소도시를 구현, 수소차 50만대 생산기반을 구축해 수소기업 200개 이상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다음으론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사업이다. 오는 2030년까지 울산항 68만4000㎡ 부지에 오일 및 LNG 등 에너지 저장시설을 구축, 정부의 신북방정책과 연계하여 RUS-SAN 마켓 개설 등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원전해체산업 유치도 주요현안에 포함됐다.

이미 유치에 성공한 원전해체연구소를 거점으로 세계 원전해체시장을 선점, 산·학·연 협력을 통해 연관기업 육성, 국산화 기술개발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울산경제자유구역 및 5대 특구단지 조성과 관련해서도 경제자유구역 중심 혁신기업 유치와 좋은 일자리 창출,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 강소연구개발특구,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밖에도 국보 285호 반구대암각화 보존과 물 문제 해결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확보와 함께 세계유산 등재와 관광자원화 추진 등이 반드시 해결하기 위해선 2022년도 국비확보가 최우선이라고 보고 있다.

울산지역국회의원협의회 서범수 간사의원은 “25일 시와 정책협의회에서 시가 추진하는 신규·계속 사업에 대해 다각적인 의견을 나눈 뒤 국회차원에서 적극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