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인공습지 조성해 청정식수원 확보해야”
2021-05-25 이왕수 기자
부산카톨릭대 환경공학과 김좌관 교수는 24일 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와 울산강살리기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한 ‘울산 안전한 물 확보 시민토론회’에서 ‘부·울·경 청정식수원 확보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울산의 댐 유입수(낙동강물) 또는 댐에서 흘러나온 정수장 유입수를 자연정화 방식으로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모래습지를 이용하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인공호수와 인공습지를 활용하는 프랑스 세느강, 자갈 및 모래 등을 통해 여과과정을 거치는 독일 행젠 정수장 사례 등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약 3만여㎡ 규모의 인공습지를 만들면 하루 10만t의 물을 자연정화할 수 있다”며 “공사비는 토지 구입비를 제외하고 약 35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회야댐 일원에 조성된 생태습지와 관련해선 “수처리용 습지는 물의 흐름이 보이지 않는 지표면하 방식이 원칙인데, 회야댐 일원 생태습지는 경관용 성격이 강하며, 추가 오염이 불가피한 녹조도 발생한다”며 “회야강의 일부 생태습지 구간을 지표면하 흐름 공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어 “자연정화 방식은 시민들에게 일종의 청정 상수원 확보 방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유지관리비도 저렴하다”며 “이같은 자연정화 공정을 도입하면 추가 청정 취수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문호성 울산강살리기네트워크 대표는 주제발표를 통해 청정원수 확보 방안으로 꼽히는 지하댐 건설, 농업용수 저수지의 식수 전용 전환, 운문댐 공급, 대암댐 식수 전용화 등의 장·단점을 설명했다.
문 대표는 “천상정수장 인접지에 지하댐을 건설하면 하루 3만~10만t의 물 확보가 가능하다”며 “또 울주군과 북구 등 100만t급 이상의 저수지 3곳을 활용해도 하루 2만t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운문댐 물을 확보하면 청정원수를 얻을 수 있지만 관로 설치에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대구시로부터 동의를 얻기 어렵다”며 “대암댐을 식수 전용으로 할 경우 상수도보호구역 추가 지정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토론에 참여한 K-water 관계자는 “지하댐을 건설할 경우 인근 지역의 건천화 가능성이 있다”며 “소규모 저수지 방안에 대해선 면밀히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이상옥 환경복지위원장은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부의 ‘풍수해 대응 혁신 종합 대책’과 ‘반구대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최종 등재’ 등 범정부 차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만큼 이번 토론회를 통해 문화재 보존과 함께 청정 식수원이 확보될 수 있는 해법을 찾아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