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부유식해상풍력발전, 제2의 조선·해양산업으로
2021-05-27 정명숙 기자
울산시는 지난 6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부유식해상풍력전략보고회를 가진데 이어 26일 울산시청에서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부유식해상풍력 프로젝트 발표회를 가졌다. 울산시는 2030년 부유식해상풍력발전과 연계해서 수소경제와 오일가스허브 등 3대 에너지산업계획을 발표했고, 석유공사는 ‘동해1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소개했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이어 발표에 나선 현대중공업의 그린수소생산 실증설비 구축계획이다. 현대중공업은 부유식해상풍력발전 사업에서 풍력발전기의 설치와 운송 유지보수 등을 맡게 되는데, 의외로 이날 발표에서는 부유식해상풍력과 연계한 100㎿급 그린수소생산 실증설비 구축 계획을 내놓았다.
시는 2030년까지 6GW급 부유식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해 576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고, 그 중 20%를 수소생산에 사용할 계획이다. 수소전기차 56만대를 운용할 수 있는 규모다. 석탄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해 만든 수소를 친환경에너지라 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극복한 그린수소생산이다. 이 과정에 현대중공업이 뛰어들어 100㎿급 생산 실증 설비를 구축하기로 했다. 세계적인 해양플랜트 기술력을 가진 현대중공업이 부유식해상풍력발전과 그린수소사업으로 새로운 해양사업을 시작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현대중공업은 한때 풍력발전기 제작사업을 하다가 포기한 경험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울산시의 강력한 요청에도 오랫동안 풍력발전사업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참여를 꺼려왔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이날 “부유식 해상풍력이 제2의 울산 조선해양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시는 6GW급 부유식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되면 일자리 21만개가 만들어진다고 한다. 석유공사, 동서발전 등 울산지역 공기업과 울산지역 대기업이라 할 수 있는 현대중공업이 손을 잡고 ‘세계 1위 부유식해상풍력발전도시 울산’을 완성하고 우리나라 2050탄소중립을 이끌 수 있을지 기대감을 갖고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