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평가장 된 김오수(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2021-05-27 김두수 기자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은 “윤석열 전 총장이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하니 모든 권력이 총동원돼 팔다리를 자르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후보자도 법무부 차관으로 있으며 혁혁한 공을 세웠다. 그것 때문에 임명되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윤 의원은 이어 “박범계 법무부 장관, 김오수 총장,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등 권력비리 수사를 차단하는 황금 트리오가 구성됐다. 후보자가 문재인 대통령 퇴임 후 안전장치의 하나로 선택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같은당 장제원 의원은 “윤석열 전 총장에 대해 국민이 환호한 것은 정권을 가리지 않고 정의를 구현하겠다는 일관성에 신뢰를 보낸 것 아니겠느냐. 김 후보자는 국민이 요구하는 강직한 검찰총장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통령께 얘기해서 다른 좋은 자리를 부탁했으면 좋겠다”고 비꼬았다.같은당 전주혜 의원은 “후보자에 대해 ‘믿을맨’이라는 평가가 있다”며 “정권 눈치를 보고 현 정권에 칼을 대지 않을 사람이라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총장의 수사지휘권은 수사 과정에서 인권침해나 과잉수사를 막는 역할인데 단 한 사람, 윤석열 전 총장은 그렇게 안 했다. 윤 전 총장은 대한민국 검찰총장 역사상 아주 이례적인 인물이다. 윤석열 검찰은 총장의 지휘 아래 과잉수사, 선 넘는 수사를 했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그래서 검찰 수사권이 이대로 안 되겠다는 국민 여론이 올라간 것이다. 윤석열 검찰의 전철을 절대 밟으면 안 된다”고 당부했다.
이수진 의원은 “윤석열 전 총장이 사임하는 과정에서 수사권 분리에 크게 반발한 것 아느냐. 국민의 기대와 염원과 달리 아직도 검찰 내부에는 조직 이기주의가 팽배한 것 같다”고 가세했다.
한편 김 후보자는 이날 과거 법무부 차관 퇴임 후 법무법인에서 월 2000만원 가량의 급여를 받은 것이 도마 위에 오르자 해명에 진땀을 흘렸다.
국민의힘 등 야당의원들의 집중포화에 김 후보자는 “고위직 출신으로서 변호사를 했다는 부분이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 부분에 대해 마음을 무겁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받은 금액은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데, 국민 눈높이에서는 많다고 생각한다. 다만 금액은 세전이고 지난해 종합소득세 등 1700여만원을 납부했다. 내년에도 3000만원 정도 추가 납부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