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의 시간(조국 회고록)’으로 다시 쪼개진 與

2021-06-02     김두수 기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1일 출간된 회고록 ‘조국의 시간’에 대한 반응을 놓고 양쪽으로 쪼개지면서 ‘자중지란’상황에 직면했다.

여기다 국민의힘 6·11 당권경쟁에서 30대 ‘이준석 돌풍’으로 여론이 야권에 집중되는 현상이 빚어지자, “왜 우리는 ‘이준석’이 없을까”라는 위기감 속 자성론이 분출하고 있다.

먼저 ‘조국 회고록’과 관련, 강성 친문 인사들은 당이 관여할 바 아니라며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을 옹호하고 나선 반면, 비주류와 일부 대선주자 사이에서는 ‘조국 사태’ 재소환이 대선가도 여론에 미칠 악영향 우려와 함께 비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조국 백서’ 제작 과정에 참여한 김남국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검찰의 수사권 남용이나 정치적 보복 수사라는 평가를 한 번쯤 다시 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청래 의원도 TBS 라디오에서 “한 사람과 가족을 70~80점 압수 수색을 하는 게 과연 공정한 것이었나. 95%의 언론이 공격한 사모펀드 부분은 거의 무혐의·불기소 처분됐다”며 “조 장관이 본인 할 얘기를 책으로 쓴 것”이라고 옹호했다.

반면 이재명계 핵심 의원은 “답답하다. 조 장관 가족에 대한 수사가 지나친 부분이 있었고, 그 억울함도 이해한다. 하지만 출간이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올지 생각 못 했을까. 정권 재창출을 못 하면 다 죽는다”라고 지적했다.

이낙연 전 대표 측의 신경민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이렇게 되면 또 윤석열이라는 이름이 전면에 등장하고 조국의 공정성 문제가 도마 위에 올라간다. 당내 우려가 굉장히 많다”고 했다.

박용진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조국의 시간’은 조국의 권리이지만, 민주당의 시간은 당의 의무다. 4·7 재보선 민심은 민주당이 변화하라는 뜻이었다. 내로남불 논란에 대해 달라지겠다는 입장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진성준 의원은 페이스북에 “회고록 출간은 개인 자유권과 피고인의 방어권 문제다. 이를 계기로 검찰개혁 과제들이 근본적 해법을 찾길 바란다. 당이 교육 불평등을 기득권적 태도로 바라본 것을 통렬하게 반성·성찰해야 한다”고 썼다.

송영길 대표는 이날 비공개로 최고위 지도부 의견을 최종 수렴, 2일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또 국힘 ‘이준석 현상’의 부메랑에 연일 들썩이고 있다.

대선을 코 앞에 두고 30대 청년의 제1야당 대표 당선 가능성이 커지자 여당 내 표정에선 부러움과 당혹감을 넘어 위기감이 엿보인다.

나아가 대중의 주목을 받는 ‘2030 기수’가 등장하지 못하는 근본 배경을 들여다 보자는 자성론도 나오고 있다.

당 고위 관계자는 이날 “그만큼 국민들은 정치권의 세대교체를 갈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여당도 마찬가지”라며 “2030 인물을 일찌감치 키워낼 수 있는 방안을 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