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장명촌지구 협의체 구성 난항 ‘각자도생’

2021-06-02     이우사 기자
울산 북구가 파산한 진장명촌지구 토지구획정리조합(이하 조합)과 관련한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협의체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다. 핵심 이해 당사자들이 불참의사를 밝히고 있는데다 조합과 주민단체 등은 각자도생에 나서고 있다.

1일 북구에 따르면 진장명촌 토지조합 사태와 관련해 지난 5월부터 이해 당사자간 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북구가 보낸 협의체 참여 공문에 조합을 포함해 3개 단체가 모두 불참의사를 밝혔다.

당초 북구는 구청장을 포함해 조합 및 주민단체, 북구청 실무 담당자, 시·구의원 등이 참여한 가운데 매월 마지막주에 협의체를 운영키로 했다. 또 사업 인가권을 가진 울산시 지역개발과까지 협의체에 포함시켰으나, 주민단체 등이 쏙 빠지면서 교착상태에 빠졌다.

협의체와 관련해서는 현재 토지조합과 진장동 등기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 평창리비에르아파트 재산권피해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등 3개 단체의 이해관계가 맞물리고 있다. 조합과 추진위는 임원교체, 조합과 대책위는 체비지 대금을 두고 각각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앞서 협의체 불참 의사를 가장 먼저 밝힌 조합 측은 지난 4월28일 열린 총회에서 결정한대로 사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조합 관계자는 “아무런 권한이 없고 유명무실한 협의체에 참여할 이유가 없다. 조합은 잔여사업비 약 600억원을 평창리비에르 아파트 체비지 대금으로 충당해 사업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체비지 등재가 안된 평창리비에르 아파트 주민들로 구성된 대책위는 조합의 결정에 반발하며 북구의회에 진상조사특별위원회 구성을 지속적으로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협의체 참여의사를 밝혔던 추진위 또한 최근 협의체 운영을 통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사항이 없다고 판단, 오는 7월 총회 개최를 목표로 조합원 동의서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추진위 관계자는 “지난 4월에 조합 측이 개최한 총회는 위임장을 얼마나 확보했는지도 확인이 안되는 등 효력이 없는 총회에 불과하다”며 “조합장을 포함한 임원진 교체와 조합의 운영 정상화를 위해 제대로 된 총회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우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