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선바위지구 주민반발, 울산시·LH의 적극적 설득 우선돼야
2021-06-03 이재명 기자
대규모 개발사업은 주민들의 저항에 곧잘 직면하게 마련이다. 그 중에서도 대규모 주택개발사업은 투기를 차단하기 위해 피치못하게 내용을 기밀에 부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러나 사업내용이 발표되는 즉시 이해 당사자인 주민들에게 향후 계획과 보상 절차 등을 상세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주민들의 반발심리를 부추길 수 있다.
선바위지구는 183만㎡ 규모로, 사업을 시행하는 LH는 물론 울산시까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LH는 대도시권 주택공급 방안의 후속조치로 울산 선바위 지구를 가장 먼저 선택했다. 1만5000가구의 주택이 들어서면 이 일대는 새로운 신도시로 탈바꿈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는 선바위지구를 서부권 제2도심으로 뻗어가는 교두보로 여기고 있다. 송철호 시장은 선바위지구 지정 소식을 전하면서 직접 그 의미를 설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마을 곳곳에 현수막을 걸어놓고 개발 반대를 외치고 있다. 현재 선바위지구에는 100여 가구가 살고 있으며 원주민 비율은 80% 수준이다. 이들은 대부분 마을에서 나고 자랐으며 이들의 7~10대 조상들이 이 자리에 터전을 마련했다. 주민들의 큰 걱정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더라도 지금의 생활을 이어갈 수 없다는 것이다. 울산 전체의 땅값이 천정부지로 뛴 상태이기 때문이다. 특히 축산업을 하는 주민들은 울주군 조례상 새 축사를 조성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주민들은 개발 철회가 불가능할 경우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의 주장은 누가 들어도 충분히 일리가 있는 것이다. LH와 울산시는 지금이라도 주민들을 만나 자세한 사정에 귀를 기울이고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내도록 해야 한다. 아무리 메가시티도 좋고 주택공급정책도 좋지만 주민들을 설득하지 못하면 한낱 물거품에 지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