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대권·당권 경쟁 속, 울산정치권 지역공약 바로 챙겨야
2021-06-08 정명숙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대권주자 중 한사람인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지지모임인 민주평화광장 울산본부는 지난 2일 출범식을 가졌다. 앞서 지난달 7일 이재명 지사가 울산을 방문, 송철호 울산시장과 공동발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낙연 전 대표의 지지모임인 신복지울산포럼은 지난 5일 울산에서 출범식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이낙연 전 대표가 참석해 지역현안을 나열하면서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다짐했다.
국민의힘 당권주자들은 지난 2일 부산에서 부산·울산·경남 합동연설회를 가진데 이어 지난주 나경원, 주호영 후보가 차례로 울산을 다녀갔고, 이준석 후보는 6일 울산을 방문했다. 이들에게서 뚜렷한 지역공약을 찾기 어려웠다. 이들은 당대표 후보들이긴 하지만 차기 대선 주자 선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대선 공약 개발에도 주도권을 갖기 마련이다. 지역발전에 있어 이들의 울산지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중요하다.
대선은 9개월여 남았다. 하지만 아직도 여당의 대선주자들은 반구대암각화 보존, 울산의료원 설립, 부유식해상풍력·그린수소융복합단지 지원 등을 공언하고 있다. 새로운 공약 개발 없이 해묵은 숙원사업과 현재진행형인 지역 현안의 재탕삼탕이다. 이는 이들의 지지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 정치인들이 득표활동에만 치중할 뿐 지역발전을 위한 공약개발을 등한시한 때문이다.
대선 공약은 지역발전의 중요한 기폭제가 된다. 산재전문공공병원이 수차례 대선공약을 통해 비로소 이뤄진 것처럼 지방도시의 대규모 문화복지시설 건립은 대선공약이 아니고서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기가 어렵다. 대기업의 주력공장 위주의 공단도시를 벗어나 미래를 이끄는 첨단산업기지로 전환, 교육·문화 시설 확충을 통한 정주여건 향상 등 시급한 일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여야정치인들은 특정 후보 지지모임 참여에 앞서 전문가들의 힘을 빌려 새로운 공약개발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