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권주자 ‘빅3’ 울산 지지기반 다진다
2021-06-08 김두수 기자
7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빅3 주자측은 여권의 핵심 지지기반인 호남과 서울·수도권 기선을 잡기 위해선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노동계와 산업계가 절묘하게 이루고 있는 산업수도 울산의 표심을 초반 변수로 보고, 전략적 대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경기지사측은 전국 조직의 중심부인 기본소득국민운동본부를 필두로 지역별 정치적 ‘색깔’이 특화된 임의단체인 ‘민주평화광장’등 다양성을 통해 지지기반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지난 2일 울산에서 출범한 ‘민주평화광장’외에도 물밑에서 활동하는 임의단체가 수두룩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이 지사측은 지난 2017년 대선당시 구축된 조직을 새롭게 단장, 2022년 3월 대선가도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이 지사측 핵심 관계자는 “기본소득국민운동본부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대하는 한편, 울산 등 전국 시도별 맞춤식 조직을 가동하고 있다”면서 “울산은 이미 6개 지역구별 새로운 조직망을 구축하고 있다”고 했다.
이낙연 전 대표측도 전국 조직망인 ‘낙연 포럼’을 중심으로 울산지역 세력 확대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전 대표측은 특히 지난해 당대표 도전 당시 구축해 놓은 선출직 공직자 중심 조직에서 노동계와 산업계, 시민사회 등 저변확대를 위한 새로운 조직체를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5일 울산을 찾아 지방의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울산 현안을 점검한 것도 조직 확대의 연장선상으로 분석된다.
이 전 대표측 핵심 인사는 “울산에서 지난해부터 지역구별 조직위원장과 선출직 공직 중심에서 일반 당원들까지 확대하는 저인망식 조직을 구축해 왔다”면서 “앞으로 시민사회와 노동계, 학계 등에 이르기까지 전방위로 대처할 것”이라고 했다.
정세균 전 총리측은 전국 조직망인 ‘국민시대’를 중심으로 울산 전역에 공·사 조직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정 전 총리측은 17개 시도별 조직망을 구축하면서 지역특성을 최대한 살려 울산의 경우 ‘정당·공직·노동·시민사회’가 중심이된 광범위한 조직에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 울산 관내 2명의 기초단체장과 시구군의원 등이 중심이 된 전 전총리 지원 세력은 다음주 중 울산에서 공식 조직망을 선보일 예정이다.
정 전 총리측 핵심 관계자는 “전국단위 조직 구축이 다소 늦어진 것은 총리 퇴임 이후 출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지지층이 확대되면서 조직구축에 탄력을 받고 있다”며 “울산의 경우엔 당소속 유력정치인을 필두로 기초단체장과 시구군의원을 비롯해 산업계와 노동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대선 경선 연기론을 놓고 주자 간 날선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당 대선기획단이 경선 일정을 확정하기 전까지 경선 연기에 반대하는 이재명 경기지사 측과 경선 연기 찬성 주자 측의 논쟁이 불가피해 보인다.
정 전 총리는 이날 “조만간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면 정상적 경선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경선 시기, 방법 논의를 진지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낙연 전 대표 역시 “당내 의견이 이렇게 분분하다면 지도부가 빨리 정리해주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