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發 고용한파 울산은 그칠 기미 안보인다

2021-06-10     석현주 기자
자료사진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와 함께 찾아온 울산지역 내 고용한파가 여전히 거센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회복흐름을 타고 3개월 연속 취업자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전국 통계와 대조적으로, 울산의 고용환경이 그만큼 좋지 않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특히 단순노무종사자와 17시간 미만 근로자 증가폭이 크고, 20~30대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감소해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않다.

9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5월 울산시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울산 고용률은 57.5%로 전년동월 대비 0.3% 하락했으며, 취업자수는 55만4000명으로 0.7%(4000명)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40대(2.1%·3000명), 50대(0.7%·1000명), 60세이상(5.9%·5000명)에서 늘었으나 20대(-8.1%·-5000명)와 30대(-5.8%·-7000명)에서는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 사태가 지속되면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도소매·음식숙박업 취업자가 9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9.5%(1만명) 감소했다.

또 자영업자 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2만2000명으로 전년대비 소폭(-0.4%) 감소하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9.1%(6000명) 증가한 6만9000명을 기록하는 등 ‘나홀로 생계형’ 자영업자만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업무가 간단하고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낮은 단순 노무 종사자가 7만8000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15.1%(1만명) 늘어났다.

또 지난달 66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제조업 취업자수가 5월에도 4000명(2.3%) 증가하면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5월 울산지역 제조업 취업자수는 16만3000명이다.

이 기간 건설업 취업자 역시 4만3000명으로 전년대비 17.2% 늘어났으며,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0.7% 증가했다. 그러나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은 9.0% 감소했다.

취업시간대별로 살펴보면 주 36시간미만 취업자는 6.6%(7000명) 증가했고 36시간이상 취업자는 0.4%(2000명) 감소했다. 대신 일시휴직자가 1만명이 줄어들어 휴직했던 사람들이 일터로 돌아왔음을 알 수 있다.

지난달 울산의 실업률은 4.4%로 전년동월대비 0.2% 상승했으며, 실업자 수는 2만6000명으로 3.2%(1000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38만3000명으로 0.2%(1000명) 증가했다.

한편 5월 전국 취업자수는 2755만명으로, 1년 전보다 61만9000명 늘었다. 올해 3월부터 증가세로 전환하며 3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60만명대 증가는 지난 4월(65만2000명)에 이어 두 달째다.

실업자는 114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명 줄어 두달 연속 감소를 기록했고, 실업률도 4.0%로 1년 전보다 0.5% 하락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전년 동월 대비 19만6000명 줄어든 1635만1000명으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