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회, 건강조사 간담회, “주민뿐 아니라 산단 노동자도 건강조사 필요”

2021-06-14     이왕수 기자
울산시의회(의장 박병석)가 암 발병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국가산업단지 인근 거주 주민뿐 아니라 산단 노동자에 대해서도 건강 조사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조사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협의체 구성을 검토하는가 하면 민관환경감시센터 설립에도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보여 향후 결과가 주목된다.

시의회 서휘웅 운영위원장은 지난 11일 의회에서 울산 국가산단 건강피해조사에 따른 대책 마련 간담회를 가졌다. 한국노총 울산본부,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금속노조 울산지부 등 지역 노동단체를 비롯해 울산환경운동연합, 울산대학병원 교수, 울산시 관계자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는 앞서 환경부가 국가산단 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주민 건강피해 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예비 타당성 조사에 이어 향후 본 조사인 역학조사를 앞두고 지역 차원의 대책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환경부 조사에서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던 울산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양호 교수는 “울산은 산단 유해물질 배출로 인해 암 중에서도 폐암의 발생비율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있다”며 “다양한 발생 원인이 있겠지만 석면과 같이 직업적 환경으로 10년 이상 누적되면서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산단 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냈다.

간담회에 참석한 노동단체측도 “지역 산단 노동자의 건강한 작업 환경을 만들기 위한 안전기준 강화와 법제화, 역학조사에 따른 피해 규명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환경부 등은 앞서 지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1단계, 2012년부터 2016년까지 2단계 건강영향조사를 각각 진행했고, 울산 국가산단에서 벤젠 등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납 등의 중금속이 배출되고, 암·고혈압·당뇨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놨다. 전국 대비 울산의 암 표준화 발생비가 노출지역(산단 14㎞ 이내) 기준 남성 1.61배, 여성 1.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호흡기질환 표준화 사망률과 알레르기 질환·호흡기질환 등의 표준화 의료이용률도 울산이 전국에 비해 다소 높았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되는 3단계 조사에선 지역 주민을 상대로 건강문제 심층 분석, 노출평가 및 생체지표 조사가 이뤄진다.

서휘웅 운영위원장은 “국가산단 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실질적 피해 당사자인 울산에서 협의체를 구성해 환경부 본 조사에 건강조사 대상 확대 등이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며 “울산시 차원에서 시민의 알권리와 건강권 확보 차원에서 화학물질관리와 유출사고 지도를 개발하는 한편 나아가 민관환경감시센터 설치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