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주군 야영장 요금 인상률 과도하지만 불가피성 있다
2021-06-16 이재명 기자
그러나 이들 시설 가운데 최대 200%나 인상되는 시설도 있다고 하니 올려도 너무 많이 올렸다. 15일 통과된 울주군 조례에 의하면 3개 야영장의 오토캠핑장 요금은 성수기 때 주말·평일 관계 없이 3만원 하던 것이 5만원으로 대폭 인상됐다. 또 비수기 때는 주말·공휴일에 2만5000원 하던 것이 4만5000원으로, 평일에는 1만7000원 하던 것이 3만7000원으로 각각 올랐다. 일괄적으로 2만원씩 오른 셈이다.
오토캠핑장 외에 야영데크 요금은 인상폭이 더 크다. 4×4m데크 1면의 경우 비수기 때 평일 1만원에서 3만원으로 무려 200%나 뛰었다.
그러나 신불산 자락 야영장은 그 동안 많은 적자 논란을 겪었다. 지난 2018년 11월 울주군의회는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등억야영장의 무사안일한 운영을 질타한 바 있다. 당시 의회는 500억원을 들여 조성한 등억야영장이 한해 2억6000여만원의 적자를 내는 골칫거리로 변했다면서 대책을 주문했다. 의회는 야영장 관리에 투입된 인원이 30명이며 이들의 인건비가 5억4000여만원인데 야영장 수입은 2억5000여만원이어서 2억6000여만원의 적자를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던 중 지난해 초 코로나19가 덮치면서 야영장은 거의 문을 열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에 울주군이 3개 야영장의 요금을 일제히 올린 것은 타당하다. 다만 한꺼번에 요금을 급격하게 많이 올리다보니 이용자들의 항의가 터져나온 것일 뿐이다. 일각에서는 울주군의 갑작스런 요금 인상이 다른 기초단체와 사설 야영장으로 옮겨 갈 가능성이 높다며 자제를 요구하기도 한다. 또 일부에서는 공공 야영장이 수익 창출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며 제고를 요구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무리 공공 야영장이더라도 수익성을 전혀 무시할 수는 없다. 적자만 계속되는 야영장에 일반 시민들의 세금만 쏟아 붓는다면 캠핑장을 이용하지 않는 주민들의 반발이 있을 수 있다. 등억야영장을 이용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외지인이다. 관광수익을 고려한다지만 취사준비를 철저하게 해오는 야영객들의 특성을 고려하면 주변 상권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다. 이번 야영장 요금 인상은 과도하고 급작스런 측면이 분명히 있다. 그렇다고 세금을 물 쓰듯 써가며 급증하는 적자를 계속 메꿀 일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