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반구대암각화 보존과 울산 맑은물 동시해결, 종지부 찍어야

2021-06-17     정명숙 기자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민간위원 전체회의가 16일 울산에서 열렸다. 애초에 암각화박물관에서 회의를 열고 반구대암각화를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낙동강대구경북네트워크 등의 반대 집회를 우려해 회의장소를 변경했다. 이들 위원들이 수십년째 신음하고 있는 반구대암각화를 봤더라면 낙동강통합물관리가 얼마나 시급한 일인지를 단박에 알아차렸을 터인데, 아쉽다.

이날 회의는 지역별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순회 설명회이다. 울산지역은 낙동강유역통합물관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지는 않지만 정부 방침대로 통합물관리가 이뤄지면 울산은 운문댐에서 맑은물을 공급받기로 하고 사연댐 수위를 낮추게 된다. 반구대 암각화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구대 암각화가 새겨져 있는 바위가 물에 들어갔다 나오기를 반복하면서 풍화작용이 가속되고 있기 때문에 물에 잠기지 않게 하는 것은 보존을 위한 중요한 방안 중의 하나이다.

낙동강유역통합물관리방안에서는 최종적으로 구미해평취수장을 이전해서 대구지역에 맑은물을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그렇게 되면 울산은 대구가 식수원으로 삼고 있는 운문댐의 물 가운데 7만t을 공급받게 된다. 개발제한을 우려한 경북지역의 반대가 여전하긴 하지만 물관리위원회가 이 계획안을 승인하게 되면 환경부는 ‘낙동강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용역에 들어간다. 낙동강이 대구~경북~경남~부산까지 이어지는 강이므로 지역별로 나눠서 관리를 할 경우 다른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통합관리는 필수다.

문제는 그동안 자치단체별로 물관리를 해왔기 때문에 지역별 이해관계가 여전히 상존한다는 것이다. 환경부가 상대적 박탈감을 크게 느끼는 지역의 주민들에 대한 보상책 마련에도 소홀해서는 안되는 이유다. 구미지역 주민들의 요구를 적극 수용해서 갈등을 깨끗이 해소한 다음, 낙동강권 물문제의 온전한 해결을 이뤄내야 할 것이다.

문화재청이 할 일도 여기서 끝이 아니다. 사연댐 수위를 낮추는 것은 암각화 보존을 위한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암각화가 자연 속에 노출돼 있기 때문에 풍화작용으로 인한 훼손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울산시와 문화재청은 사연댐 수위조절 외에 새로운 암각화 보존 대책 마련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반구대 암각화 뿐 아니라 천전리 각석도 전문가들을 동원해서 보존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천전리 각석은 물에 잠기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탈각현상이 심각하다. 반구대 암각화에 묻혀서 천전리 각석이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어 훼손정도도 덜 알려졌을 뿐 지금도 많은 그림들이 사라지고 있다. 천전리 각석도 반구대 암각화 못지않게 중요한 자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