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대선 경선일정 내분 격화…‘당무위 개최’ 새 뇌관 조짐

2021-06-22     김두수 기자
내년 3월9일 예고된 차기 대선의 경선 일정을 둘러싼 더불어민주당 내 갈등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당무위 개최 여부가 뇌관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선후보 선출과 관련, 민주당의 현행 당헌·당규는 대선 180일 전 선출로 규정되어 있다. 때문에 오는 9월9일이 마지노선이다.

이재명계와 비이재명계, 또는 ‘친명’과 ‘반명’으로 양분돼 대선 후보를 9월에 선출하느냐, 11월에 선출하느냐를 놓고 정면충돌하고 있다.

경선 연기를 주장하는 대권주자 진영은 21일 전방위 압박에 나섰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코로나 사태도 그렇고 국민의힘이 어떻게 하느냐와 보조를 맞추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광재 의원도 “이재명 경기지사도 통 큰 결단을 하면 좋을 것”이라고 촉구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페이스북에서 ‘내가 아니라 우리가 이겨야 한다’는 이 지사의 5년 전 트위터 글을 인용, “대승적 관점에서 논의하자”고 했다.

이낙연 전 대표 측 전혜숙 최고위원은 회견에서 “손님이 없는데 어떻게 잔치를 하느냐”며 집단면역 달성 후 경선을 치러야 한다고 했다.

반면 이재명 경기지사 측은 정면 반박에 나섰다.

민형배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경선 연기, 원칙의 훼손은 공멸의 길로 치달을 위험이 크다”며 “후단협(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 시즌 2가 될까 두렵다”고 적었다. 2002년 노무현 대통령 후보가 확정된 이후 국민통합21 정몽준 후보와의 단일화를 압박하기 위해 탈당한 ‘후단협’ 사태에 빗대, 당시와 마찬가지로 계파 이익 때문에 ‘1위 후보 흔들기’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이규민 의원도 “당 후보를 9월에 뽑는 건 이미 지난해부터 정해져 있었다. 이 지사가 2위일 때는 아무 말 없다가 1위가 되니 연기하자고 나선 것”이라고 비판했다.

당헌에는 ‘대통령 후보자 선출은 선거일 전 180일까지 해야 한다고 되어 있으나,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당무위원회 의결로 달리 정할 수 있다’고 돼 있다. 경선 연기파는 코로나 상황 등이 상당한 사유라며 당무위 의결 사안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현행 고수파는 상당한 사유에 해당하지도 않을뿐더러 경선 일정은 최고위 결정 사항이라는 입장이다.

당무위엔 경선 연기파가 상당수 포진해 있다. 당무위는 당 지도부와 국회 상임위원장, 시·도당 위원장, 당 소속 시·도지사 등 100명 이하 위원으로 구성된 의사결정기구다. 여권 주류인 80년대 학생운동권이나 호남 출신도 아니고 의정 경험도 전무한 이 지사에겐 매우 불리한 구조다.

22일 의총에선 찬반양론으로 나뉘어 전면적 세 대결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송 대표는 “상당한 사유가 있어 당무위에 부칠 사안이냐 아니냐는 대표와 지도부가 판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