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노사정 머리 맞대야
2021-06-22 정명숙 기자
이날 대화에서 노조는 “울산의 지속적인 인구 감소세와 내연기관 축소에 따른 지역경기 악화로 탈울산이 가속화할 것”이라며 울산시의 대책을 물었다. “현대차가 2025전략을 통해 61조원에 달하는 투자계획을 밝히고 있지만 투자처가 충북 청주시와 중국 사천 등에 집중돼 있다”면서 울산시의 늑장대처도 꼬집었다. 송시장은 “조선업을 비롯한 지역주력산업의 쇠퇴에 시의적절하게 대비하지 못해 여러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면서 전임 시장들에게 화살을 돌리면서도 “기업의 사업계획 수립에서 지자체가 초기단계에 관여하기는 쉽지 않다”고 해명했다.
자동차산업은 고용창출과 지역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자동차 산업이 지역의 주력사업인 자치단체라면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은 물론 회사의 투자 유치를 위한 선제적 노력도 갖추어야 한다. 지방정부의 뒤늦은 대처가 ‘자동차 도시 울산’의 앞날을 걱정스럽게 하고 있다. 노조로서는 당연한 지적이기도 하지만 노조 역시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나 회사측의 투자 유치와 관련해서 노조는 그동안 어떤 노력을 했는지도 되짚어야 한다. 현실적으로는 지방정부 보다 노조의 역할이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는 일이다.
늦었지만 노정이 함께 해법 찾기에 나선 것은 다행이다. 자동차산업은 앞으로도 패러다임 변화가 계속될 것이다. 단순히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 자동차로의 변화를 뛰어넘어 새로운 모빌리티(사람들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각종 서비스나 이동수단을 폭넓게 일컫는 말) 산업이 수없이 예고돼 있다. 한차례의 대화에 만족하거나, 서로의 문제를 지적하는데 그쳐서는 안 된다. 노와 정이 아니라 노사정이 마주 앉아 울산이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이 되기 위한 심도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