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미래차 전환 고비에 선 부품업계, 전폭적인 지원을
2021-06-24 이재명 기자
2019년 기준 울산의 자동차 부품산업 고용 인원은 2만4919명으로, 완성차 업계 종사자 3만2112명의 77% 수준을 차지한다. 울산의 자동차 부품기업은 520여 곳으로 차체부품 22.7%, 의장부품 38.4%, 새시·엔진부품 27.4%, 전장부품 11.5% 등으로 구성돼 있다. 1차 협력사는 전체의 10.5%, 2~3차 협력사는 89.5%를 차지한다.
이런 상황에서 자동차 산업의 무게중심이 내연기관에서 전기·수소차 등으로 이동하게 되면 지역 자동차 부품업계는 치명타를 입을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정부는 전기·수소차의 비중이 2019년 3%에서 2030년 33%까지 확대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약 3만개의 부품 가운데 37% 수준인 1만1000개의 부품이 사라지게 된다. 업계의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지만 지역 2~3차 협력업체의 상당수는 규모가 영세하고 경영상황도 좋지 않아 알고도 대비를 못하는 교착상태에 빠져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난 10일 정부는 ‘자동차 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미래차 핵심부품 14종의 기술자립을 지원해 소재 국산화율을 70%에서 95% 수준까지 제고하기로 했다.
그러나 부품기업 83%가 매출 100억원 미만의 영세기업에 속한다는 것은 뼈아픈 현실이다. 특히 울산의 경우 2~3차 협력사가 89.5%에 이르러 정부의 ‘자동차 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은 한낱 빛좋은 개살구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기업주들은 미래차 전환에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이미 포기했다는 말도 들린다. 지난 21일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노조원과 송철호 시장과의 간담회에서 노조원들은 “울산의 지속적인 인구 감소세와 내연기관 축소에 따른 지역 경기악화로 탈울산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울산지역 자동차 부품업계는 울산경제를 지탱하는 큰 축이다. 이 기업들이 막다른 골목에 내몰리면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