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없는 울산대의대 문제 제기 시의회, 전국공론화로 해법 찾는다
2021-06-28 이왕수 기자
전국시도의회운영위원장협의회는 지난 25일 제주에서 제8차 정기회를 열어 울산시의회 서휘웅 운영위원장이 제출한 ‘지역 의과대학 지역 환원에 대한 교육부 감사 촉구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서 위원장은 “1988년 지역 간 의료 불균형 해소와 지방대학 육성을 위해 의료 취약지역인 울산에 의과대학 정원이 배정됐지만 울산대는 부속병원인 울산대학병원이 아닌 서울아산병원에서 의과대학을 편법 운영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의료 취약지역인 울산이 서울 소재 병원을 키우는데 이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서 위원장은 특히 “울산대 의과대학 졸업자 중 울산에 남는 비율은 약 8%에 불과하며, 울산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도 1.5명(2019년)으로 전국 시·도 중 하위 수준”이라며 “울산은 현재까지도 대표적인 의료 취약 지역”이라고 꼬집었다.
서 위원장은 울산대의대의 불합리한 운영 문제를 부각하기 위해 건국대 사례를 제시했다. 그는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이 충주를 떠나 서울에서 의과대학을 편법으로 운영했지만 교육부가 다시 충주로 옮기도록 시정명령을 내렸다”고 소개했다.
협의회 역시 검토 보고서를 통해 “건국대는 교육부로부터 충주캠퍼스 의대 설립을 허가받았고, 2005년까지 의과대학을 운영했다. 하지만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한 후 2007년부터 서울에서 수업과 실습을 진행하고 있다”며 “2020년 지역에서 ‘편법운영’ 문제가 제기돼 교육부가 감사에 나섰고, 의전원 과정을 충주캠퍼스로 돌려보내는 게 맞다는 취지의 감사 결과를 냈다”고 밝혔다.
건국대는 의학전문대학원을 의과대학으로 전환하고 2022년부터 충주에서 첫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이다.
협의회는 “의과대학 특성 상 교수진 운영, 시설투자, 임상데이터 및 실습 등을 위해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 수도권 소재 병원에서 실습·수업을 진행하는게 유리하다고 하지만, 이는 지역의 의료발전과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는 행위”라며 “빠른 시일 내 시정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서 위원장은 “울산대의대의 서울 이전을 32년간 묵인한 교육부는 철저한 감사를 통해 시정명령을 내려야 한다”며 “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 지방대학 육성취지를 살리지 못한다면 울산대의 의대정원 반납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이왕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