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대 울산시의회, 풀뿌리 입법활동 역대 최대

2021-06-30     이왕수 기자
임기 마지막 1년을 남겨 놓고 있는 제7대 울산시의회(의장 박병석)는 입법(조례 제정)에 있어 역대 의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양적인 증가를 이끌어냈다.

기존 조례의 실효성이나 적합성 등을 따지는 입법 평가 역시 7대 시의회에서 처음 도입했다. 지역 현안과 관련한 문제 제기와 해법 도출을 이끌어내는 5분 자유발언, 시정·서면질문도 활발했다.

다만 원내대표 제도를 새롭게 도입하면서도 정당 간 입장차에 따른 여야 갈등은 여전히 풀지 못한 숙제로 남아 있다.

29일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7월1일부터 현재까지 제7대 시의회가 제정한 조례는 총 309건이다.

직전인 6대(137건)와 5대(96건) 시의회가 임기 4년 동안 제정한 조례에 비해서도 2~3배가량 많다.

울산대 의과대학의 울산 환원 촉구 건의안, 일본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계획 철회 촉구 결의안을 포함해 지역 현안에 대한 문제 해결 등을 촉구하는 건의안(12건), 결의안(33건)도 총 45건 처리했다.

울산시와 시교육청 관련 현안 문제를 제기하고 집행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이끌어내는 시정질문(106건), 5분 자유발언(215건), 서면질문(265건)도 거의 600건에 달할 정도로 시의원들의 열기가 뜨거웠다.

각 상임위원회는 시정현안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간담회 및 토론회를 실시하고 주요 사업 현장을 찾으며 시민들의 삶을 챙기는 일하는 의회의 모습을 보였다고 자평한다.

의회운영·행정자치·환경복지·산업건설·교육위원회 등 5개 상임위는 지난 3년 간 460회의 간담회·토론회를 개최하며 의정활동을 위한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들었고, 78회에 걸친 현장활동을 통해 주민들의 목소리가 시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

에너지산업을 육성하며 혁신성장을 이루겠다는 목표로 에너지특별위원회를 구성한데 이어 지역 청년정책을 제안하는 청년정책특위, 동북아 최대 북방경제 에너지 중심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경제자유구역특위, 원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원전안전특위, 혁신도시 정주여건 개선 및 공기업·공공기관 유치·지원에 나서는 혁신도시 시즌2 특위 등을 구성하며 현안에 대처하고 있다.

장기화된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피해 극복을 위한 성금 모금, 공무국외출장 여비 전액 자진 삭감 등 솔선수범하는 모습도 보였다.

임기 마지막인 4기 예산결산특별위원장으로 소수당인 국민의힘 소속 김종섭 의원을 선출하면서 여야 간 협치를 보여줬다.

물론 갈등도 있었다. 시의회가 효율적인 의회운영 등을 위해 교섭단체 원내대표 제도를 도입했지만 의회 몫인 울산시자치경찰위원 2명을 추천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된 소통이 이뤄지지 않아 갈등을 빚기도 했다.

박병석 의장은 “변화와 개혁이라는 과제를 안고 출범한 제7대 시의회의 임기가 이제 1년 남았다”며 “하루를 1년 같이 여기며 시민이 부여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보다 집중하고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