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롯데별장, 과자박물관 지어 울산시민에 돌려줘야
2021-07-05 정명숙 기자
롯데별장은 잔디밭과 관리동, 일부 주거용 건물 등으로 구성돼 있다. 약 2만㎡에 이른다. 신격호 롯데그룹 전 회장은 고향마을이 대암댐 조성으로 수몰되자 1970년 이곳에 별장을 지었다. 2m 높이의 담장을 치고 정문에 ‘개인 소유지입니다’라고 써붙이고는 개인소유처럼 사용해왔다. 수자원공사는 2008년에야 롯데별장의 일부가 사유지가 아니라 국유지의 무단점유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별다른 조치없이 울산시민들도 모르게 수년동안 변상금만 챙겨오다가 11년만인 2019년 변상금을 받아왔던 사실이 세상에 알려졌다.
수십년을 속아온 울산시민들의 반발이 잇따르자 2019년 8월 롯데는 수자원공사와 울주군에 친수공간으로 조성해서 시민들에게 돌려주겠다는 약속을 했다. 그러나 업무협약도 맺지 못한 채 2년이 흘렀고, 마침내 수자원공사는 이 부지에 대한 원상복구 절차를 밟기로 했다. 울산시민들에게 소중한 자산이나 다름없는 수변공간의 무단점유를 수수방관한 것도 모자라 무단점유자에게 고스란히 되돌려주려는 것이다.
친환경(Environment) 사회적 책임경영(Social) 지배구조 개선(Governance)의 ESG는 기업은 물론이고 국가의 성패를 가르는 키워드가 되고 있다. 수십년 롯데별장을 롯데소유로 알고 있었던 울산시민들의 박탈감에 대해 아무런 보상도 하지 않겠다는 것은 기업의 도리가 아니다. 롯데그룹은 2015년 12월부터 ESG 성과를 사장단 평가에 반영하고 있다는데 울산만 예외인가. 울산은 롯데 창업주 신격호 회장의 고향이다. 롯데별장은 그의 생가나 다름없다. 지난 2020년 1월 작고한 신회장은 인근에 잠들어 있다. 어린이날 마다 잔치를 열어주었던 신회장의 뜻을 좇는다면 롯데별장은 과자박물관으로 거듭나는 것이 제격이다.
ESG는 공기업인 수자원공사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매각이 아닌 지역사회를 위한 대안을 찾는 것이 ESG다. 울주군도 롯데별장을 공공의 자산으로 되돌려 놓는데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