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현대차·현대중 파업수순 돌입, 지역경제 기반 흔들린다
2021-07-06 이재명 기자
현대차 노조는 5일 쟁의 발생 결의안을 통과시킨데 이어 오는 7일 전체 조합원 대상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해 파업 돌입 여부를 결정한다. 노조는 앞서 지난달 3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했다. 노동위원회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지고, 파업 찬성표가 절반을 넘으면 노조는 합법 파업을 할 수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해고자·실업자의 노조 가입을 허용한 개정 노조법 시행일인 6일부터 9일까지 전면파업을 진행한다. 지난해 1월 현 노조 집행부가 출범한 후 부분파업은 있었지만 전면파업을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2019년 5월 임금협상을 시작한 뒤 지금까지도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
두 대기업은 사정은 다르지만 각기 풀기 어려운 난제에 직면해 있다. 우선 현대차의 경우 완성차 패러다임이 내연차에서 전기차로 급격히 변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자동차 제조과정이 간략해지고 그 과정에서 인력 감축이라는 또 다른 숙제를 풀어야 하는 운명을 맞게 됐다. 완성차 업계는 전기차 전환 시 30% 이상의 인력감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노조는 만 60세인 정년을 만 64세로 연장해 줄 것을 요구 중이다.
현대중공업은 노사간 갈등의 골이 너무 깊어 쉽사리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갈등은 2019년 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결정하면서부터다. 이로 인해 노사의 임단협은 2019년부터 결렬되고 있다. 올 2월과 4월 노조 집행부가 2019년과 지난해 2년치 통합교섭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으나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된 바 있다. 거기다 올해분 임단협까지 합치면 총 3년치 교섭이 예정돼 있다.
두 대기업의 임단협 타결은 결코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대기업의 임단협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 크기 때문에 반드시 타결돼야 한다. 노사간의 이해관계가 난마처럼 얽혀 있어 좀처럼 실마리를 찾기 힘들 것이나 끝까지 포기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