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 계획으로만 머물면 안된다

2021-07-07     이재명 기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6일 제4차(2021~2025)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번에 확정된 울산 관련 사업은 광역철도 3건, 광역도로 2건, 환승시설 3건 등 8건이다. 이번 사업들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울산은 부산과 경남 등과 함께 튼튼한 메가시티 기반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울산 내부의 트램노선 등과 연계해 한층 수준높은 교통시스템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5년 단위 중기 법정계획이다. 이는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이 법적 구속력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울산과 부산, 경남을 하나로 묶는 튼튼한 밧줄 역할을 한다. 이번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의 비전을 ‘경계를 넘어 권역의 상생발전을 이끄는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으로 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광역철도의 경우 엄청난 사업비가 들 뿐만 아니라 3개 광역자치단체의 협의가 원만하게 이뤄져야 사업 시기를 앞당길 수 있으므로 별도의 협의체를 만들 필요가 있다. 실제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은 전국적으로 수십건이 계획돼 있다. 예산이 부족해지면 사업 자체가 연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울산·부산·경남 3개 광역자치단체가 이번 광역교통시행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공동으로 설득전을 펼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울산과 관련된 3개의 철도사업은 울산시민들의 삶을 질적으로 높이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부산·경남의 관광사업과 여타 산업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또 주요 교통거점별로 환승센터가 설치되면 대중교통 환승 연계체계가 갖춰져 부·울·경 메가시티 조성의 선결 조건인 ‘1시간 생활권’의 광역교통망도 구축할 수 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기자회견에서 “광역철도가 건설되면 지역간 통행시간을 단축해 공간거리 압축과 활발한 인적·물적 교류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져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환승시설과 광역도로까지 유기적으로 구축한다면 동남권을 넘어 영남권 광역교통망 구축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울산~양산~부산 구간과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사업이 완료되면 울산~부산 구간은 현재 72분에서 60분으로, 울산~김해 구간은 현재 135분에서 37분으로 이동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확정은 울산에게는 큰 기회다. 그러나 계획은 실천으로 옮겨야 비로소 기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