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형 삶터 조성해 인구 130만 달성

2021-07-09     이춘봉
자료사진

저출산 및 주력 산업 부진 등의 악재로 심각한 인구 절벽 현상에 직면한 울산시가 2030년 계획인구 130만 달성을 위한 특단의 방안을 모색한다. 울산형 일터와 일감을 만들고 시민들이 원하는 삶터를 조성, 살고 싶고 살기 좋은 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8일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송철호 시장 주재로 ‘인구 대책 특별회의’를 개최했다. 시는 울산의 인구 감소 원인을 파악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실질적인 인구 증가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회의를 열었다.

울산의 인구는 2020년 기준 113만6017명으로 정점을 기록했던 5년 전 117만3534명에 비해 3만7517명이나 줄어 2010년 수준으로 후퇴했다. 시는 저출산에 따른 인구 자연 감소에 주력 산업 경기 부진이 맞물리면서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했다. 경기 불황에 따른 일자리 감소로 2만4213명, 주택 공급 부족과 부동산 가격 상승 영향으로 1만6999명, 교육 여건 1만6719명 등 다양한 이유로 탈울산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이 시의 판단이다.

시는 청년 세대의 지속 유출로 혼인율 감소 및 출생률 저하 등 연쇄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시는 2023년이면 울산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울산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할 종합적인 인구 관리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5대 전략, 5대 분야, 18개 추진과제를 설정했다.

시는 우선 생애주기별 복지망 구축으로 결혼·출산·보육·고령 친화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청년일자리센터를 운영하고 출산 및 다자녀 가정의 안정적 생활도 지원한다. 다함께 돌봄센터를 운영하는 등 안전한 아동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의료 인프라도 강화한다.

인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역 수요 맞춤형 교육기반도 구축한다. 타지역 대학을 울산으로 이전·유치하거나 산학연 공동 캠퍼스를 조성해 지역 특화형 고등 교육기관을 유치한다.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고, 울산 이노베이션스쿨도 확대 운영한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미래 신산업을 추진한다. 수소산업 등 9개 성장다리 사업을 신산업으로 육성해 2030년까지 일자리 60만개를 창출한다. 창업 플랫폼과 성장 사다리 등 혁신 성장을 견인할 창업 허브를 조성하고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 등 고용 안전망도 구축하고 있다.

살고 싶은 도시 조성을 위해 정주여건도 개선한다. 2030년까지 16만명이 살 수 있는 주택 6만8000가구를 공급하고, 신혼부부·출산가구를 위한 주거 지원을 확대하는 등 사각지대 없는 주거 지원에도 나선다.

주소이전 전입자 지원 정책을 도입하고 울산주거 울산주소 운동을 추진하는 등 범시민 인구대책 공감대 형성 및 참여 분위기를 조성한다.

시는 인구 문제를 시정의 가장 큰 현안으로 상정하고 인구 대책을 다룰 추진 체계를 강화한다. 1본부 5개 대책반으로 ‘울산형 인구증가 대책 추진본부’를 운영해 시책 발굴과 추진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현재 운영 중인 인구정책위원회는 조례를 개정해 위원회 위상과 역할을 대폭 강화한다. 위원장을 행정부시장에서 시장으로 격상하고, 위원 수도 20명 이내에서 30명 이내로 확대한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