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지역실행기구 구성에 울산도 포함 시켜야”

2019-11-19     김현주
경주시가 월성원전의 고준위핵폐기물 대용량건식저장시설(이하 맥스터) 건설 여부를 결정하는 ‘지역실행기구’에 울산을 제외한 채 단독 구성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이하 탈핵울산)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탈핵울산은 월성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에 약 100만명이 거주하고 있는 울산도 송철호 시장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공론화에 참가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탈핵울산과 고준위핵쓰레기 월성저장소반대 울산북구주민대책위(이하 대책위)는 19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주시와 산업부는 일방적인 지역실행기구 구성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경주시는 당연직 3명, 동경주 주민 6명, 시민사회 1명 등 총 10명으로 지역실행기구를 구성해 오는 21일 출범 예정이다. 경주시는 지역실행기구를 통해 맥스터 건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울산은 앞서 지난 8월 송철호 울산시장과 중·남·동·북구청장들이 산업부와 사용후핵연료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 경주시에 지역실행기구 구성 시 울산 4개 구에서 위원을 각각 1명씩 선임하고, 지역주민 의견 수렴에 울산시민을 포함시켜달라는 의향서를 전달했다.

탈핵울산은 “핵발전소나 핵폐기물 사고로 방사능이 누출되면 반경 10㎞까지의 주민은 무조건 대피해야 한다. 월성원전 반경 7㎞ 지점에는 강동산하지구 대형 주거지가, 10㎞까지는 정자항이 포함된다. 그럼에도 울산시민의 뜻은 묻지 않고 공론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울산시장과 시의회, 기초단체장들이 전부 나서서 경주시의 일방적인 지역실행기구 구성을 중단시켜야 한다. 송 시장이 나서서 울산시의 입장과 요구를 공개적인 자리에서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직후 ‘핵폐기물 공론화 요구서’를 송 시장에게 전달했다. 탈핵울산은 20일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1일에는 경주시청을 항의방문 한다는 계획이다. 김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