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4조4천억 투자 그린수소시대 선도

2021-07-14     김창식
자료이미지

롯데케미칼이 2030년까지 약 4조4000억원을 투자해 친환경 수소 생산과 유통·활용을 주도한다는 ‘2030 수소성장 로드맵’을 발표했다.

대규모 소비처와 대량 공급망, 친환경 기술 등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청정 수소 생산, 수소 활용 사업, 수소 사업 기술 발전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13일 2030년 탄소중립 성장 달성과 환경영향물질 저감, 친환경사업 매출 증대로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2’를 발표했다.

올해 2월 발표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전략·친환경 목표인 ‘그린 프로미스(Green Promise 2030)’에서 수소 사업에 대한 내용을 구체화한 것이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4조4000억원을 단계적으로 투자, 약 3조원의 매출과 10%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실현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우선 2030년까지 60만t의 청정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생산 중인 부생수소를 기반으로 2025년까지 탄소포집 기술을 활용해 블루수소 16만t을 생산한다. 2030년 그린수소 밸류체인을 완성함으로써 블루수소(16만t)와 그린수소(44만t)가 혼합된 60만t 규모의 청정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롯데케미칼은 국내 수소 활용 사업도 견인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4년에는 울산지역에 연료전지발전소 운영을 시작한다. 2025년까지 액체수소충전소 50개를 구축하고, 점진적으로 2030년에는 복합충전소를 200개까지 확대해 국내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형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사업장내 연료전지 발전소 및 수소터빈 발전기를 도입해 탄소 저감된 전력으로 환경 친화적인 공장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롯케미칼은 앞서 지난 5월31일 SK가스와 기체수소 충전소 건설 및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시작으로 향후 협력체계를 확대, LNG 냉열을 활용해 생산된 액화 수소 공급 등 수소 Value Chain 전반에 걸친 사업 모델을 공동 구축하는 업무 협약식을 했다. 양사간 합작사는 올해 연말 출범할 예정이다.

롯데케미칼은 보유한 역량을 기반으로 수소사업 기술 발전도 주도할 예정이다.

수소 저장용 고압 탱크 개발을 통해 2025년 10만개의 수소탱크를 양산하고, 30년에는 50만개로 확대 생산해 수소 승용차 및 상용차에 적용을 목표로 한다. CCU/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기술을 단계적으로 적용해 탄소 중립에 기여하고, 동시에 암모니아 열분해 및 그린수소 생산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황진구 대표는 “선제투자의 관점에서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초기에 인프라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하고자 한다”면서 “그린수소 시대가 도래하면 생산된 그린수소를 기구축된 공급망에 투입해 수요자들이 탄소 걱정 없는 친환경 소비를 할 수 있도록 각 활용 부문에 적시에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수소경제 확대에 대비해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관계를 구축 중이다.

지난 3월에는 국내 화학업계 최초로 기체분리막을 활용한 CCU 기술 실증 설비를 여수 1공장에 설치한데 이어 4월에는 삼성엔지니어링과 국내외 사업장의 에너지 효율화, 온실가스 및 환경영향물질 저감, 탄소포집 및 활용기술 개발, 그린수소사업 및 기술라이센싱의 공동참여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에어리퀴드코리아와 롯데케미칼의 부생 수소를 활용해 새로운 고압 수소 출하센터와 수소 충전소 구축에 공동 투자하고, 수도권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모빌리티 시장 개발을 확대하는 업무 협약을 5월에 체결했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