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지역주의 ‘망령’ 與 대선경선 진흙탕

2021-07-27     김두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6룡’의 경선 레이스에서 지역주의가 중대 변수로 부상, 시계제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26일 여권에 따르면 6명의 주자들은 연일 사생결단식 진흙탕 공방 속에서 금기나 다름 없는 영호남 지역주의의 뇌관이 터지면서 표심과 판도에 어떠한 파급력을 미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경선 과정에서 또 다시 불거진 지역주의 논란은 영남 역차별을 시작으로 한 이재명 경기지사의 지역 관련 발언을 호남 출신인 이낙연 전 대표가 문제 삼으면서 확산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5000년 역사에서 백제쪽이 주체가 돼 한반도 전체를 통합한 때가 한 번도 없었다. 이낙연 전 대표가 이긴다면 역사라고 생각했다. 결국 중요한 건 확장력”이라는 이 지사의 ‘백제 발언’은 이 지사 우위의 경선 판도를 뒤흔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 전 대표는 백제 발언을 호남후보 불가론으로 규정하며 파상 공세에 나섰고, 이 지사는 즉각 ‘망국적 지역주의 조장’이라고 맞받아치며 사과를 요구했다.

호남민의 피해의식과 맞닿아 있는 호남홀대론은 과거 잊을 만하면 작동하며 당내 선거를 넘어 정치 지형을 바꿔놓기도 했다. 가장 가까운 사례는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의 분당 과정이었다. 2015년 2·8 전당대회에서 친노 주류의 대표주자로 나선 문재인 후보는 박지원, 이인영 후보에 완승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결과는 박 후보에 3.52%p차 신승이었다. 전남 출신인 박 후보의 호남홀대론과 부산정권론이 갈수록 힘을 받으면서 호남 기반의 당심이 문 후보를 이탈했기 때문이었다.

호남홀대론은 전대 후 더 위력을 발휘, 당시 안철수·김한길·박지원 등 비노계의 집단 탈당과 창당으로 2016년 총선에서 호남 지역구를 석권한 국민의당의 녹색돌풍으로 이어졌다. 과거에도 민주당은 대선 길목을 비롯한 굵직굵직한 정치적 고비에서 지역주의 문제로 집안싸움을 벌였다.

2012년 8월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이 한창일 때, 당시 문재인 후보측은 영남 출신인 문 후보의 광주 방문을 ‘호남 상륙작전’으로 표현했다가 한바탕 시비에 휘말렸다.

호남은 선거 때 특정 당과 후보에게 몰표를 주는 전략적 투표 양상을 보인다. 민주당에선 호남의 선택이 권력의 향배를 좌우하기에 모든 후보가 호남의 바닥 민심잡기에 사활을 건다. 당 안팎에선 선거철에 지역주의 논란이 자주 불거지는 근본적 이유로 현재 약 70만명에 달하는 권리당원의 분포를 꼽고 있다. 이들의 절반 가량이 호남에 몰려 있고 다른 지역과 젊은층 또한 호남 출향민과 그 2세대가 대다수여서 당 지도부나 후보로선 지역 정서를 살필 수밖에 없다.

한편, 민주당은 코로나 재확산 상황 등을 감안, 3차원 가상공간인 ‘메타버스’를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 전면 도입키로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