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경찰특공대 창설 실패…내년 재도전

2021-07-29     이우사 기자
울산경찰이 테러 등 긴급상황 발생시 지역의 안전과 인명구조를 수행할 경찰특공대 창설을 추진중이지만 정부의 예산·정원 심의를 넘지 못하고 있다. 7대 특·광역시 중 울산만 경찰특공대가 없는데다 석유화학과 원전 등 국가기반시설이 밀집해 있는 만큼 하루빨리 경찰특공대 창설이 요구되고 있다.

울산경찰청은 경찰특공대 창설을 위해 지난 3월 행정안전부에 소요정원안을 제출했지만 최근 부결됐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경찰청은 전국 18개 시·도경찰청에 1청 1특공대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시·도경찰청 중 가장 늦게 출범한 세종경찰청에도 지난 2020년 경찰특공대가 창설됐지만, 울산을 포함해 강원, 충북 등 3곳만 경찰특공대가 없다. 또한 3곳 모두 올해 행안부에 제출한 소요정원안이 통과되지 않았다.

특히 울산의 경우 새울·고리·월성 등 원자력발전소부터 대규모 석유화학단지, 울산항, 울산공항 등 국가기반시설이 밀집돼 있어 경찰특공대 설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경찰특공대가 없는 울산의 대테러업무는 그간 부산청 경찰특공대가 맡아왔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부산 경찰특공대가 헬기를 타고 울산에 지원을 올 수는 있지만 EOD(폭발물 처리반) 등이 출동해야 하는 상황에서 특수장비가 헬기에 적재 불가능한 경우도 있어 현장투입이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찰특공대는 총 인원 32명으로 구성되며, 특공대장(경감)을 필두로 전술팀, 폭발물처리팀, 행정팀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필요한 예산과 정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행안부의 심의를 통과하는 것이 관건이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지역 내 강력범죄 및 테러 대응력 향상을 위해 내년에 다시 경찰특공대 소요정원안을 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