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울산 혁신성장역량 부족, 미래 어둡다

2021-08-12     김창식

2022년 공업도시 지정 60주년을 맞는 산업수도 울산의 미래가 ‘불확실성’에 휩싸이고 있다. 울산은 주력 제조업이 성숙기를 지나면서 지역경제 위기국면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자동차와 조선,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 수출은 14년 전 수준으로 감소했다.

무엇보다 지역 혁신성장의 핵심 주체인 ‘인구(노동력)’ 자원은 동맥경화에 걸렸다. 2030 청년을 비롯해 생산가능인구의 타지역 유출 행렬은 벌써 수년째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 저출산·고령화는 지역경제 활력을 떨어뜨려 광역시 소멸 우려를 더하고 있다.

지역 주력산업의 성장성 감퇴로 인한 성장동력 저하와 고용 창출력 약화 등의 구조적인 문제에 부딪힌 울산이 새로운 50년의 미래로 나아가려면 혁신성장이 절실하다. 하지만 울산의 가진 혁신성장 역량은 타 지역보다 뒤쳐지고 있다는 평가여서 제2도약에는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울산의 지역혁신성장역량지수(RIGCI)는 17개 시도 가운데 7위로 중위권에 머물렀다. 혁신기반역량은 전국 4위로 상위권에 올랐지만, 미래산업기반 역량이 10위로 매우 취약했다.

울산은 혁신성장역량 유형 가운데 ‘혁신기반 의존형’으로 분류됐다. 미래산업기반역량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나 혁신기반역량은 높다는 이유에서다. 울산은 굴지의 대기업 입지로 인해 혁신기반역량을 구성하는 ‘R&D 역량’(3위)을 제외하고는, ‘사람·교육역량’과 ‘창업역량’모두 중위권(7위)에 머물렀다.

특히 미래 성장잠재력을 의미하는 ‘신산업 역량’은 전국 15위로 최하위권으로 처졌다. 제조업 도시 울산의 미래가 전국 어느 도시보다 어둡다는 암울한 지표다. 신산업 역량이 울산보다 뒤쳐진 곳은 제주와 세종 뿐이다. 울산의 신산업 역량은 경쟁 광역시는 물론 강원 등 도단위 지역에 조차 모두 뒤졌다.

울산은 산업의 다양성은 물론 지식산업, 신기술 산업, AI·IoT·빅데이터·3D프린팅 등 4차산업혁명 기반기술산업, 웨어러블·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드론 등 4차산업혁명 융합산업이 제대로 기반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평가됐다. ‘사람·교육→연구개발(R&D)→창업→신산업기반’으로 나아가는 혁신성장의 연결고리가 허술해 신성장 산업이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울산이다.

지방자치시대 치열한 생존경쟁을 벌이고 있는 대전, 서울, 경기, 인천, 광주 등 경쟁도시들은 혁신성장역량 종합평가 상위 1~5위에 랭크했다. 혁신기반역량과 미래산업기반역량 모두 전국 평균을 웃돈 ‘혁신성장 선도형’ 도시로, 울산보다 혁신성장 역량이 성큼 앞선 것으로 평가됐다. 대전은 ‘국내 최고 수준의 R&D 역량’, 서울은 ‘지식서비스’, 경기는 ‘지식제조업’, 광주는 ‘총인구 대비 청년인구 집적지’로 자리매김 했다.

최근 글로벌 탄소제로 시대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울산의 주력산업은 더 많은 도전과 위기에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다. 오래지 않은 기간 안에 특단의 혁신성장을 이뤄내지 못한다면 과거 미국이 겪었던 주력산업의 노후화 및 공장의 해외이전 등으로 인한 ‘울산형 러스트 벨트’로 전락할 수도 있다. 조선업 구조조정과 수주불황 등으로 지역경제 전반이 침체돼 이미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2018년)으로 지정된 울산(동구)이다.

면밀한 지역 산업역량 분석을 통한 지역산업의 위기진단과 위기 극복방안 등 선제적 대응과 대안 모색이 절실하다. 보다 많은 성장 기업 유치와 스타트업 배출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 관련 기술창업과 신성장 기업 유치에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고부가가치 성장기업의 유치와 창업은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 인구의 역외유출 등 ‘세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길이다. 김창식 부국장 겸 정치·경제부장 goodg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