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17일부터 순차 지급
오는 17일부터 지원되는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의 지급액이 달라지는 방역조치 기간 기준이 집합금지 업종은 6주, 영업제한 업종은 13주로 결정됐다. 6주 이상 영업을 못 한 집합금지 업종의 경우 연 매출에 따라 400만~2000만원까지, 6주 미만이면 300만~1400만원까지 받는다.
12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17일부터 소기업·소상공인에게 4조2000억원의 희망회복자금을 지급하기 위해 이런 세부 기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희망회복자금은 지난해 8월16일부터 올해 7월6일 사이에 집합금지나 영업제한 조치를 이행한 소기업·소상공인 178만이 지원 대상이다. 최소 40만원에서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된다. 지원금 상한선은 4차 재난지원금인 버팀목자금 플러스(500만원)의 4배다.
희망회복자금은 방역조치 수준(집합금지·영업제한·경영위기업종)과 방역조치 기간(장기·단기), 연 매출 규모(4억원·2억원·8000만원) 등에 따라 32개 유형으로 구분돼 금액이 달라진다.
중기부는 방역조치 기간을 구분하는 기준을 이번에 새롭게 정했는데 집합금지 업종은 6주를 기준으로 장기·단기로 나누고 영업제한 업종은 13주를 기준으로 정했다. 방역조치 기간 기준을 나눈 것은 지자체별 방역조치 및 개업일 등에 따라 사업체의 방역조치 기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연 매출은 2019년 또는 지난해 매출액 중 큰 금액이 적용되고, 경영위기업종은 2019년 대비 지난해 매출 감소율을 본다.
연 매출 4억원 이상의 집합금지 업종의 경우 6주 이상 영업을 하지 못한 경우 2000만원을 받는다. 연 매출 4억원 이상 영업제한 업종은 13주 이상 영업 제한을 받아야 900만원을 받는다.
40만~400만원의 희망회복자금을 받는 경영위기업종은 277개 업종으로 정해졌다. 버팀목자금 플러스(112개) 때보다 165개 늘었다. 전년 대비 매출이 20% 이상 감소한 업종 외에 매출이 10% 이상~20% 미만 감소한 업종도 포함됐다.
새로 추가된 업종은 안경 및 렌즈 소매업, 택시 운송업, 가정용 세탁업, 인물사진 및 행사용 영상 촬영업, 결혼 상담 및 준비 서비스업 등이다.
희망회복자금은 17일부터 지급된다. 당일 오전 8시부터 안내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고 같은 시간 접수가 시작된다.
첫 이틀 간은 사업자번호 끝자리를 기준으로 홀짝제로 신청할 수 있다. 19일부터는 홀짝 구분 없이 모두 신청할 수 있다. 희망회복자금 콜센터(1899-8300)와 온라인 채팅상담도 운영한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