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국립 탄소중립 전문과학관, 울산이 최적지다
2021-08-17 이재명 기자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탄소중립은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전 세계의 화두가 됐다.
정부는 지난 3월 제16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을 확정한 바 있다.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행동 실천 항목은 ‘에너지 전환’ ‘저탄소 산업화’ ‘미래 모빌리티’ ‘순환 경제’ ‘탄소 흡수 숲’ 등 5가지다. 특히 ‘에너지 전환’과 ‘저탄소 산업화’는 과학기술의 힘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천항목이다. 울산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수소도시로, 에너지 전환의 선두에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에 울산시가 유치하려는 탄소중립 전문과학관은 에너지 도시 울산의 상징적인 시설이 될 수 있다. 이 전문과학관이 울산에 들어선다면 울산은 산업도시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탄소중립 과학도시로 비약할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 최대의 산업단지가 밀집해 있는 울산이 모범적으로 탄소를 감축시키고 수소에너지를 전국에 확산할 경우 전문과학관은 탄소중립의 메카 역할을 수 있을 것이다.
전문과학관의 유치가 결정되면 시는 오는 2024년까지 울산대공원 내 1만2000㎡ 부지에 국비 245억원, 시비 105억원 등 총 350억원을 투입해 시설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이 곳에는 수소에너지도시, 탄소중립미래기술, 미래모빌리티 등의 체험시설을 구상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정부 공모에서 수소와 게놈을 주제로 한 국내 6번째 국립과학관 유치를 추진했지만 생명·의료 전문과학관을 내세운 강원도 원주에 밀려 유치전에 실패한 바 있다. 그러나 울산은 수소트램 도입 추진, 수소선박 및 충전소 건립 등 수소산업 선도도시로 꼽힌다.
전문과학관 유치는 울산시의 힘만으로는 어려울 수 있다. 시민들과 지역출신 정치권의 힘이 반드시 필요하다. 탄소중립 전문과학관의 당위성을 충분히 설명해 꼭 울산으로 확정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