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들 ‘희망회복자금’ 가뭄에 단비
2021-08-18 석현주 기자
신종 코로나 타격을 받은 소상공인들을 위한 ‘희망회복자금’ 지급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울산지역내 자영업자들도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17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및 소기업을 위한 ‘희망회복자금’의 1차 신속지급 대상자 133만 사업체에 희망회복자금 지원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1차 신속지급에 포함된 지원대상은 133만4000개 사업체로, 1인당 40만원에서 최대 2000만원까지 모두 3조원이 지급된다. 유형별로는 집합금지가 13만4000개, 영업제한이 56만7000개, 경영위기업종이 63만3000개 사업체다.
신청 접수가 시작된 지 2시간 만에 16만여명의 접수자가 몰렸고, 이날 오후 4시 기준 희망회복자금을 신청한 소상공인은 44만2604명으로 집계됐다.
지급 첫 주에는 오후 6시 이전에 신청하면 당일 지원금이 지급되며 매일 4차례 나눠 지급된다. 빠르면 신청한 뒤 2~3시간 만에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날 자영업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희망회복자금’과 관련한 글이 쏟아졌다. 특히 지급이 시작되는 낮 12시 전후에는 입금을 인증하는 글이 올라왔다.
한 소상공인은 “희망회복자금을 8시5분에 신청했는데 11시39분에 입금됐다. 재난지원금 4차 입금때는 2달 가까이 걸려서 속이 터졌는데 이번에 일처리가 빨라서 너무 좋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외에도 “더 이상 대출 받기도 힘든 상황에서 빠른 지원금이 좋다” “방금 전 들어와서 월세와 카드 값을 선결제했다. 이번달은 숨통이 트인다” “내년에는 부디 코로나가 종식돼 또 지원금을 받아야 할 상황이 오지 않길 바란다” “공돈 생긴 거 같아 기분 좋은데 부가세 내러 갑니다” 등의 반응이 잇따랐다.
하지만 지역내 대부분의 상인들은 정부 추경이 ‘가뭄의 단비’라고 말하면서도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도 있다.
울산 중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40대 A씨는 “지원금을 받으면 당장 급한 문제야 해결하겠지만, 아주 일부에 불과하다. 밀린 월세내면 끝”이라면서 “지원금 보다 거리두기 완화라든지 좀 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 확산세가 거세질 때마다 영업제한을 받아온 노래방 점주 B씨는 “1년 임대료만 수천만원인데 고작 400만원을 받게 됐다. 직격타를 입은 업종인데 받아들이기 힘든 지원금액”이라면서 “재정 한계로 모든 사람을 구제해줄 순 없겠지만, 형평성에 어긋나는 정책은 어려운 자영업자들을 더욱 비참하게 만들 뿐이다”고 지적했다.
한편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의 ‘희망회복자금’ 신청과 지급이 순조롭게 이뤄지기 위해 이날부터 18일까지 사업자번호 끝자리를 기준으로 ‘홀짝제’를 운영 중이다. 19일부터는 홀짝 구분 없이 모두 신청할 수 있다. 오는 30일부터는 1차 신속지급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지원 대상인 사업체에 ‘2차 신속지급’도 시작할 예정이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