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철도노조, 코레일과 밤샘 집중교섭
본교섭 재개한 노사 접점 찾기
4조2교대제 위한 인력 충원 등
쟁점사안 합의 여부 이목 쏠려
대체인력 등 비상수송대책
열차 운행률 평소대비 80%선
철도노조 파업 5일째인 24일 한국철도(코레일)와 철도노조가 밤샘 집중 교섭을 하며 협상 타결을 시도했다.
이에 따라 노사 간 쟁점인 4조 2교대제 도입을 위한 인력충원 등 임금교섭과 특별 단체교섭에서 합의가 이뤄져 파업이 종결될지 주목된다.
한국철도 관계자는 “전날 밤 7시부터 8시까지 한국철도 서울사옥에서 본교섭이 재개됐다”며 “오늘 오전 3시까지 실무 집중 교섭을 벌인 뒤 휴식에 들어간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오전 9시부터 실무 교섭이 재개되며, 이견이 조율되면 본교섭을 다시 할 것”이라며 “오늘 중 협상 타결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밝혔다.
철도 노사는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며 내세운 △4조 2교대 내년 시행을 위한 인력 4000명 충원 △총인건비 정상화(임금 4% 인상) △생명안전업무 정규직화와 자회사 처우 개선 △철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철도 통합, 특히 SRT 운영사인 SR과의 연내 통합 등 4가지 요구 조건을 두고 전반적으로 이견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는 전날 노조 요청으로 파업 4일 만에 본교섭을 재개해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를 모은다.
조상수 철도노조 위원장은 전날 서울 조계사 앞에서 열린 공공운수노조 결의대회에서 “정부가 철도파업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노·정 협의에 즉각 나설 것을 촉구한다”며 “집회 이후 우선 노사교섭을 속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4일 열차 운행률은 80% 수준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전 11시를 기준으로 전체 열차는 평시 대비 80.9%가 운행 중이라고 밝혔다.
열차 종류별로는 KTX 76.9%, 일반열차 66.7%, 화물열차 34.2%, 수도권 전철 89.3% 수준이다. 파업 참가율은 31.0%(출근대상자 2만8273명 중 8777명)로 집계됐다. 대체인력(2162명)을 포함한 2만1658명(평시 대비 76.6%)이 비상수송대책에 따라 근무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