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외면하고 싶은 인구절벽, 그래도 대책은 세워야 한다

2021-08-20     이재명 기자
100년 후인 2117년에는 울산지역 인구가 26만명까지 줄어든다는 전망이 나왔다. 도시 자체가 없어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울산이 존속하기 위해서는 인구 문제를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된다.

감사원이 최근 내놓은 ‘인구구조 대응실태(지역)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인구는 2017년 977만명에서 50년 뒤엔 64% 수준인 629만명, 100년 후엔 27% 수준인 262만명으로 4분의 1토막날 것으로 추계됐다. 지방 대도시의 인구 감소는 더욱 가파르다. 2017년 342만명이었던 부산 인구는 50년 후엔 191만명, 100년 후엔 21%에 불과한 73만명으로 쪼그라든다. 대구는 2017년 246만명에서 50년 뒤엔 142만명, 100년 후엔 지금의 22%인 54만명으로 줄어든다.

울산은 더 심각하다. 울산 인구는 30년 후인 2047년 94만명으로 줄어 광역 시·도에서 제외될 것으로 추계됐다. 2017년 11만명이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47년 36만명(38.1%)으로 3배 넘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중·북·울주군은 20% 이하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남·동구는 20~40%의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후 2067년에는 68만명, 2117년에는 26만명으로 인구 감소 현상이 더 가팔라진다. 무엇보다 2117년에는 울산 5개 구·군이 소멸고위험군에 속하고 두 명중 한 명이 65세 이상일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이 1962년 시로 승격되기 전 인구는 8만5082명이었다. 그러다가 공업센터 지정 이후 전국 각지에서 일거리를 찾아온 사람들로 넘쳐나면서 울산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1970년 15만9340명, 1980년 41만8415명, 1983년 50만명을 넘어섰다. 거꾸로 말하면 100년 후 울산은 1970대 20~30만명 수준의 조그만 소도시로 돌아가는 것이다.

울산 인구가 26만명까지 줄어든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가히 끔찍할 뿐이다. 도심 곳곳에 무너져가는 고층 빌딩이 즐비하고 쥐떼가 출몰하는 유령도시가 될 것이다. 또 두 명 중 한 명은 65세 이상인 노인일 가능성이 높다. 100년의 세월이 아득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으나 사실은 현재 영·유아나 앞으로 태어날 우리들의 자녀, 손자·손녀가 살아가야 하는 가까운 미래다.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장들은 100년 뒤를 걱정하지 않는다. 도시가 하루 아침에 없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는 사이 도시의 인구는 조금씩 줄어들어 마침내 도시 자체가 사라지는 것이다. 울산이 광역시로서 존속하기 위해서는 눈 앞의 치적만 쌓을 것이 아니라 미래를 바라보면서 인구 대책을 철저히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