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예견됐던 금리인상, 후폭풍 최소화에 주력해야
2021-08-27 이재명 기자
금리인상은 고육책이지만 언젠가는 해야 할 일이었다. 실제 지난 6월말 가계신용 잔액은 1805조9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무려 10.3%나 늘어났다. 여기다 정부는 재정지출을 대폭 확대해 엄청난 돈이 부동산으로 흘러들어갔다. 그러다보니 아파트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코로나19에 따른 생활고 해소용 융자도 급증했다.
금리인상의 당위성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문제는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이 총재가 언급한 대로 금리인상은 이번 한 차례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코로나 사태로 가뜩이나 형편이 어려운 영세 자영업자, 중소 상공인들은 물론 주택 구매 등에 목돈이 필요한 서민들은 앞으로 돈 구하기도 어려워지고 이자 부담도 더욱 무거워져 이중삼중의 고통에 시달리게 될 것으로 우려된다.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올라가면 가계대출 이자 부담은 약 6조원, 1%포인트 올라가면 12조원이 늘어나게 된다. 울산 남구의 한 호프집 사장은 “아파트를 담보로 받았던 대출금을, 코로나가 터지고 난 뒤 가게 운영과 생활비로 거의 썼다. 그런데 금리가 오르면 이자가 오르니 당연히 걱정될 수밖에 없다”면서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영업제한보다 이자가 더 무섭다”고 토로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비롯한 취약계층의 고통이 장기화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최대한 신중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중소기업중앙회도 “정부와 금융계는 금리인상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금리와 자금 공급 상황을 면밀하게 점검해 일시적 자금난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과 정부는 서로 긴밀히 협조해 금리인상으로 타격을 입게 될 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하루빨리 그리고 적극적으로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