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대선경선 ‘코로나 표심’ 변수 될까
여권의 대선주자 경선이 오는 4일 충청권을 시작으로 막이 오르는 가운데 경선 지역순회 투표를 앞두고 캠프마다 조직가동에 비상이 걸렸다.
코로나19 방역 지침상 5인 이상 집합이 금지된 상황에서 대선경선 표심변수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기 때문이다. 6룡의 캠프마다 밑바닥 조직력을 총동원,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카풀 등을 활용해 현장을 찾을 것을 독려하고 있다.
2일 당 경선관리위원회 등에 따르면 경선은 온라인 투표와 현장 투표로 나뉘어 진행된다.
선거인단 중 유선전화 신청자들과 대의원은 권역별 합동연설회가 이뤄지는 곳에 설치되는 현장 투표소에서 직접 투표해야 한다. 특히 합동 연설회장의 수용 인원도 제한된다. 때문에 현장을 찾더라도 지지하는 후보의 연설을 직접 볼 수 있다는 보장이 없어 투표를 포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반면, 현장 투표자들은 대부분 해당 후보의 열성 지지층인 만큼 어려움이 있어도 방문할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온라인 투표 전환 여부를 둘러싸고 후보 사이에 신경전이 벌어지는 기류도 감지된다.
이재명 경기지사 캠프 관계자는 이날 “현장 투표를 꼭 해야 하는지 의문인 만큼 온라인 투표로 전환하자고 당에 요청했으나 선관위에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정세균 전 총리 캠프 조승래 대변인도 “우선 충청권 1차 경선에 한해 대의원 현장 투표를 온라인 투표로 전환하자”고 공식 제안하고 “충남의 경우 태안이나 안면도에서는 투표장소인 대전까지 2시간씩 걸리기도 한다”고 했다.
반면, 이낙연 전 대표측은 이런 주장이 유불리에 따른 흔들기 아니냐고 의심하며 원칙대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전 대표 캠프 고위 관계자는 “현장 투표를 안 할 거면 지역순회 경선은 의미가 없다. 무슨 의도가 있는지 모르겠으나 이제 와 그런 주장을 한다는 것은 꼼수로 보인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양강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가 연일 수위 넘은 공방전을 계속하고 있다.
이재명 경기지사의 ‘무료 변론’ 논란을 놓고 한쪽은 네거티브, 다른 한쪽은 검증이라고 주장하며 정면 대치하는 양상이다. 반면 이낙연 캠프는 당의 리스크 해소 차원에서라도 이 지사가 변호사 수임료 일체를 공개해야 한다며 팽팽히 맞섰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