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고발사주 의혹’ 사건 관련, 이준석·김기현 당 연관성에 선 그어
2021-09-08 김두수 기자
특히 울산출신 김 원내대표의 경우 지난 1주일 동안 당 최고위원회 등 주요회의에서 고발사주 의혹에 대해 가능한 언급을 자제하고 있는 가운데 이준석 대표 역시 매우 원론적인 입장만을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투톱’의 이러한 신중모드 이면엔 윤 전 총장의 고발사주 의혹 논란에 대해 후보검증단을 설치하겠다며 일단 방어모드에 들어갔지만, 내부적으론 고민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일단 고발사주 의혹과 당과의 연관성에는 선을 긋고 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취재진에게 “당에선 각종 공익제보에 대해 법률적 사실관계를 파악해 문제가 있으면 고발할 책무가 있다. 당으로서는 한 톨도 문제가 될 것이 없다”고 했다. 다만 추가 의혹제기 및 대검의 진상조사 추이 등에 따라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만큼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이준석 대표는 “문건을 단순히 전달받은 것이 아니라 당과 소통이 있었다고 하면 당이 더 곤란한 상황이다. 이 경우 윤석열 후보에게 책임은 좀 덜 해질 수 있지만 당은 또 리스크가 있을 수 있다. (저는) 그래서 더 철렁하다”고 했다.
경선 레이스가 시작된 상황에서 당이 특정 후보의 의혹을 어디까지 방어해야 하느냐는 ‘적정선’을 놓고도 난감해하는 기류도 읽힌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여당이 윤석열 후보를 집중 공세하는 상황에서 검증단의 주요 업무도 ‘윤석열 네거티브 방어’가 될 것이다. 검증단이 윤석열 캠프냐는 이야기를 어을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지도부의 대응이 우왕좌왕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당장 여권의 윤 전 총장의 국감 증인 채택 주장을 놓고 지도부 내에서 온도차가 감지된다.
김 원내대표는 윤 전 총장 증인 채택에 대해 “무작정 정치공세다. 만약 증인을 채택해야 한다면 (드루킹 사건에서)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배후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문재인 대통령 증인 채택도 이뤄져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이 대표는 라디오에서 “윤 전 총장 개인의 판단에 따르는 것이다. 정치적인 인물이기 때문에 출석을 마냥 회피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