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자동차 부품업계 지원, 울산산업 운명 가른다

2021-09-23     이재명 기자
울산시가 지역 자동차 부품업계의 미래차 전환을 위해 국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국비를 받아내는 것은 그렇게 만만한 일이 아니다. 모든 지자체들이 자동차 부품업계 지원을 위해 정부에 손을 벌리고 있는 판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산은 현대자동차 모기업이 위치해 있는 전국 최대의 자동차 산업도시로서 하루 빨리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숙명에 처해 있다. 미래차 전환을 위한 국비를 제 때 확보하지 못하면 지역 부품업계의 경쟁력이 떨어져 결국은 울산지역 자동차 산업 전반이 침체에 빠질 수 있다.

그러나 울산지역 부품업계는 아직 준비가 덜 돼 있는 상태다. 울산에는 총 522개의 부품기업이 위치해 있다. 볼트와 지그 등 기타 부품을 제외하면 409개 기업이 운영 중이다. 1차 협력사는 총 43곳으로 전체의 10.5%를 차지하며, 2·3차 협력사는 366곳(89.5%)으로 전국 부품기업과 거의 비슷한 비율을 보인다. 시는 이 중 80% 이상이 미래차 대응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는 미래차 전환을 위한 선제 대응이 시급하지만 경영 상황이 녹록지 않아 계획 수립을 엄두도 내지 못하는 기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현대차는 세계시장에서 판매하는 완성차 중 전동화 비중을 2030년 30%, 2040년 8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특히 2035년까지 유럽 시장에서 판매하는 모든 모델은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만 공급할 계획이다. 현대차의 미래차 전환 속도는 핵심 부품업체까지 당황스럽게 할 만큼 빠르다. 현대차의 이같은 속도전은 세계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런 상황에서 울산시는 부품업계 지원에 나서고 있으나 여의치 않는 상황이다. 우선 내년도 사업으로 ‘지능형 전력구동 핵심부품 지원 기반 구축 사업’을 신청해 국비 30억원을 확보했다. 그러나 이 사업만으로는 부품업계 지원이 원활치 않다고 판단, ‘미래차 전·의장 및 전동부품 기술 전환 지원 사업’의 국회증액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울산에만 미래차 전환 관련 사업을 2개나 준다는 데 거부감을 보이고 있어 국회 증액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자동차산업의 미래차 전환은 울산산업의 운명을 가르는 시험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울산지역 부품업계의 경쟁력은 울산 뿐만 아니라 전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알려주는 시금석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는 국가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라도 울산시가 제시한 부품업계 지원사업들을 다시 한번 재점검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