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서 원전해체산업 핵심기술 본격 개발
방사성 오염탱크 방사능 물질 저감·탱크 해체 기술
산자부 공모사업에 선정 UNIST 나일플랜트가 26억 들여 개발
2022년 10월 완료…원전해체산업 기반·기술자립도 확보
원전해체연구소 공동 유치로 원전해체산업의 전략적 요충지가 된 울산에서 방사성 오염 탱크 방사능 감용·해체기술이 본격적으로 개발된다. 울산시는 이를 발판으로 원전해체 기술의 자립도를 향상해 원전해체산업의 기반을 다져나간다는 방침이다.
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원전해체산업 핵심기술 개발사업’ 공모에서 ‘방사성 오염탱크 방사능 물질 감용 및 해체기술 개발’ 과제가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 과제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참여 회사인 나일플랜트가 국비 등 26억원을 투입해 토양·구조물·기계설비 등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감량할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운전이 정지된 원자력발전소를 안전하게 해체하고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 저감을 위해 필수적이다. 원전해체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방사성 오염탱크 처리기술은 아직 국내·외에서 확보되지 않아, 이 사업을 통해 국내 방사성 폐기물 처분조건과 재활용 관리기준을 만족하는 혁신적 오염 탱크 처리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명이 다한 원자력발전소 1기당 30건 이상 탱크 해체작업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예상되는 시장 창출효과는 60억원 정도라고 울산시는 설명했다. 이 기술 개발 과제는 2022년 10월 완료될 예정이다.
앞서 울산시는 4월 숙원사업이었던 원전해체연구소를 유치했고, 6월에는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후속사업으로 지역 원전해체 기술개발 지원, 고급인력 양성과 신규기업 창업 등으로 많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박순철 시 혁신산업국장은 “이번 공모 사업에 선정된 원전해체산업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신기술 개발과 비즈니스모델 발굴, 지역 기업 역량 강화 등 행·재정적 지원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은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세계 최고의 원전해체산업 선도도시 구현을 비전으로 추진된다. 10개로 이뤄진 세부추진 과제는 △원전해체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원전해체 전문기업 육성 및 기업지원사업 지속 추진 △원전해체 전문인력 양성 △원전 제염·해체 융·복합 기술 개발 △원전해체 폐기물 처리 및 환경 복원 △원전해체 시설 안전성 확보 △원전해체 소재부품 성능평가 및 신뢰성 인증 강화 △원전해체 글로벌 진출 △방사성 이용 및 자원 재순환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 △원전해체 국·내외 협력강화 사업추진 등이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