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담 커지자 울산 아파트 ‘증여 열풍’
‘거래절벽’ 속에서도 집값 상승 기대감과 종부세 부담 등을 이유로 울산지역 아파트 증여가 꾸준히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주택자가 종부세 부담이 커지자 보유나 양도보다는 증여를 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5일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래 현황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8월까지 울산지역 아파트 증여건수는 총 1315건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증여를 포함해 매매·판결·교환·분양권 전매·기타 소유권 이전 등 전체 거래 건수(1만7783건)의 7.4%에 해당하는 수치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1~8월 기준 최고치다.
울산지역 아파트 증여 비중은 전국 평균(6.8%)보다 다소 높지만, 고가주택이 즐비한 서울(13.9%), 대구(10.7%) 등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울산의 아파트 증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중구(13.2%)로 5개 구군 중 유일하게 10%대를 넘어섰다. 이어 북구(8.2%), 남구(6.7%), 울주군(4.5%), 동구(4.0%) 순으로 아파트 증여가 많았다.
지역 아파트 증여는 지난해 7월(141건)을 시작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정부가 지난해 7·10 대책을 발표한 뒤 같은 달 조정대상지역 내 3억원 이상 주택을 증여하는 경우 수증자가 내야 할 취득세율을 기존 3.5%에서 최대 12.0%까지 높이는 지방세법 개정안을 내놨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후 8월11일 개정안이 처리되기 전까지 세금 중과를 피하기 위한 아파트 증여가 일시에 몰리기도 했다.
이 같은 아파트 증여 열풍은 다주택자를 겨냥한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세금 인상 대책이 올해부터 시행되면서 더욱 불을 댕긴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부터 다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 최고 세율이 기존 3.2%에서 6.0%로, 양도소득세 최고 기본세율은 기존 42.0%에서 45.0%로 올랐다. 집값이 계속 오를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꺾이지 않는 상황도 증여 열풍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지역 내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되면서 매도가 쉽지 않자 증여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는 여전한 만큼 매도호가를 섣불리 낮추지 못하는 것이다. 또 다주택자의 경우 아파트를 매도하는 것보다 증여가 세금 부담이 적다”고 설명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