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울산공항 존폐 공론화 근거될 자료확보 나선다
울산시가 울산공항 존폐 공론화의 근거가 될 자료 확보를 위해 연구 용역을 추진한다. 내년 초 용역에 착수해 연말까지 용역을 진행한다는 계획인데, 시기상 시 차원의 대선 공약화는 쉽지 않을 전망이지만, 정당이나 후보자 개인의 공약 채택은 가능한 만큼 울산공항 문제가 내년 선거 정국의 뜨거운 감자로 등장할 여지는 충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시는 ‘울산공항 활용 방안 연구 용역’ 추진을 위해 내년 당초예산에 용역비 3억5000만원을 편성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용역 기간은 10개월인데, 시는 내년 2~3월 중 용역에 착수해 연내에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용역에서는 울산공항의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미래 비전을 연구한다. 송철호 시장의 공언대로 확장과 이전, 폐항 등 모든 방안을 다각적으로 연구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최적의 해법을 찾는다는 계획이다.
우선 가덕도·대구통합신공항 건설과 광역 교통망 구축에 따른 장래 울산 항공의 수요를 분석한다. 도심항공교통(UAM) 등 향후 도심 항공 관련 기술에 대한 전망도 다각도로 점검한다.
확장과 관련해서는 울산공항을 존치할 경우에 대비해 활주로 확장 방법 등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적용 가능한 개선책을 전방위로 모색한다.
현재 울산공항은 활주로가 2000m로 국내 공항 중 가장 짧고 착륙대도 비행장시설 설치 기준보다 짧아 중소형 기종만 이착륙이 가능하다. 국제선 취항이 가능한 B-747 이상의 대형 기종을 투입해 공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활주로 연장이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시는 용역에서 북측 활주로를 확장하기 위해 자연하천인 창평천의 물길을 돌리는 방안 등을 연구한다. 기존의 울산공항 확장 방안은 과도한 투입 비용 문제로 모두 불가 판정을 받았는데, 이번 용역에서는 예산을 투입해 울산공항을 확장할 가치가 있는지를 중점 확인한다.
이전과 관련해서는 공항 이전이 가능한지를 먼저 확인하고, 이후 관내 이전 최적지를 찾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전 및 폐항에 대비해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도 연구한다. 도심 속 금싸라기 땅으로 남게 되는 울산공항 부지의 활용 방안을 찾아 울산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공청회 진행 내용 및 시기 등 여론 수렴을 위한 방안도 용역에 담는다. 시는 용역 중간 보고 결과를 토대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 여론을 수렴한다는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앞서 울산시가 제시한 대선 공약 울산 건의 과제 22건에서도 울산공항 문제는 제외된 만큼 시 차원의 공약화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다만 정당이나 후보자 개인 차원에서의 공약화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