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첫 민간 체육회장 선거, 정치오염 우려된다

2019-12-02     정명숙 기자
울산시와 5개 구·군 체육회장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14일 울주군체육회장 선거를 시작으로 내년 1월5일 동·북구체육회, 1월7일 시체육회, 1월11일 남구체육회, 1월13일 중구체육회 순으로 선거가 예정돼 있다. 체육회는 이번에 처음으로 선거를 통해 회장을 뽑는다. 지자체장의 당연직 겸임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겠다는 것이 목적이다.

그동안 체육회는 회장을 단체장이 맡음으로써 업무의 연속성이 떨어지고 체육발전에도 저해요소가 많았다. 심지어 체육회는 지방선거가 끝나면 낙하산 인사의 대표적 자리로 꼽혔고, 사실상의 선거조직이라는 인식도 만연해 있었다. 이같은 부작용을 없애고 체육회의 본래 목적을 회복하기 위해 제도를 바꾸어 민간인으로 회장을 선출하는 민간체육회장 제도가 도입된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선의가 그대로 실현될 것이라고 믿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는 울산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비슷한 상황으로 일부지역에서는 벌써부터 파벌·대립이 벌어져 체육계의 분열과 분란을 초래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터져 나오고 있다. 울산은 아직 선거가 본격화하지 않은만큼 드러난 논란은 없지만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의 면면을 보면 정치적 입김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짐작은 어렵지 않다.

사실상 체육회를 구성하는 분야별 회장들이 이미 정치적으로 얽혀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첫 선거에서 단번에 본래 취지대로 정치와 무관한 선거가 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회장 출마 예정자들도 사실상 거의 대부분 각 종목별 회장 출신이다. 게다가 총선이 코앞에 닥쳐 있다. 이번 선거 결과가 총선에 크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농후하므로 선거일이 다가오면 정치권의 개입이 노골화할 것이라는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체육회장은 적어도 지역 체육발전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각오를 갖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 체육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단순하게 명예나 지위를 갖고자 하는 인물이 아니라 실질적인 소명의식을 가진 인물이 맡아서 지자체로부터 독립적인 체육회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울산은 특히 2021년 전국체전 개최도시로 선정돼 있어 이번에 뽑히는 회장이 전국체전을 치러야 한다. 체육인들로 구성되는 선거인단의 공정한 투표에 전국체전의 성공이 달려 있는 셈이다. 선거인단에 의한 선거인만큼 선거때마다 부정부패의 온상이 되곤 하는 농수축협 조합장 선거처럼 될까 걱정이다. 첫 선거에서부터 아예 부정·부패의 싹이 자라지 못하도록 후보와 선거인단이 페어플레이 정신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