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라포드 제작 중단·관광거점 조속 조성”
2021-10-29 정세홍
장생포주민협의회 등 4개 단체는 28일 울산지방해양수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옛 현대미포조선 장생포공장 부지에서 수년째 테트라포드 제작 작업이 진행돼 주민들이 비산먼지로 고통받고 있다. 또 해양오염, 공사차량 운행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에도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8월 울산해수청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문제를 제기했지만, 어떠한 조치도 없다”며 “해수청과 남구, 울산시 등은 해당 부지를 2030년까지 해양관광거점으로 조성하기로 해놓고 적어도 2025년까지는 이행할 의지조차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울산시와 남구청, 울산해수청과 장생포 주민 등은 지난 2004년 현대미포조선 부지 임대계약 당시에 임대기간이 만료된 뒤 해양공원으로 조성한다는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이후 2014년에는 고래등대 유치, 아쿠아리움 건설 등을 계획했지만 모두 무산됐다.
협의회는 계획 수립 과정에서 주민 의견수렴, 주민 참여를 보장하기로 했지만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테트라포드 제작 작업이 중단되고 당시 합의사항이 이행될 때까지 집회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생포에 위치한 옛 현대미포조선 장생포공장 부지는 9만9000여㎡ 면적으로 지난 1997년 울산항 항로 직선화사업시 발생한 준설토를 매립해 조성했다. 지난 2018년 6월 임대기간이 만료되면서 현대미포조선 장생포공장은 철수했고 이후에는 유휴부지로 남게 됐다.
이에 울산해수청은 추후 해수면 상승과 태풍 강도 증가 등 관내 방파제 안전성 검토 결과 파손 우려가 있어 울산항 기능 마비를 막기 위한 사전 보강공사를 위해 해당 유휴부지를 활용, 테트라포드 제작 작업을 진행중이다.
현재 해당 유휴부지는 오는 2025년 해양문화관광지구로 조성해 숙박시설 등이 들어선다는 항만 재개발기본계획이 수립돼 있다. 그러나 적어도 2025년까지는 테트라포드 제작 작업장으로 활용될 예정이어서 관계기관과 주민과의 갈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전망이다.
해수청 관계자는 “테트라포드 제작 작업으로 인한 주민 피해 예방을 위해 수시로 살수차를 운영하고 있고 공사차량 안전관리를 위해 신호수도 배치했다”며 “항만 재개발기본계획이 본격 추진되는 시점에 맞춰 주민의견 수렴 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