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 낮춰도 안팔려” 울산 주택시장 냉각
정부가 대출 규제 강화로 ‘돈줄 옥죄기’를 본격화하면서 울산지역 주택시장의 매수심리가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여기에다 내년부터는 2억원 초과 대출에 대해서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앞당겨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부동산 시장 관망세가 짙어졌다.
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주 울산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3으로 기준선인 ‘100’에 근접하며 3주 연속 하락했다. 한동안 100을 크게 웃돌았던 매수심리가 최근 들어 계속 꺾이고 있다는 의미다.
인터넷상에 올라오는 매물 건수도 늘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인 ‘아실’에 따르면 울산 아파트 매물은 총 1만2168건으로 두 달 전(1만1238건)에 비해 8.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이날 찾은 울산 중구 유곡동과 우정동 등 혁신도시 일대 중개업소는 쥐 죽은 듯이 조용했다. 지난해 말 집값 급등과 동시에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고, 1년째 거래절벽에 시달리고 있는 중이다. 여기에다 최근 잇단 대출 규제 강화 조치로 매수 문의가 뚝 끊겼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유곡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투자자는 찾아보기 힘들고 실거주자 위주로 거래되다 보니 전세는 씨가 말랐다. 매매 거래는 뜸하지만, 여전히 매도호가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간혹 사정이 급한 집주인이 호가보다 1000만원~3000만원가량 싸게 매물을 내놔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고 전했다.
고가주택이 몰려 있는 남구지역도 조용하긴 마찬가지다.
남구 신정동 문수로아이파크 인근의 부동산 관계자는 “규제지역에다, 집값이 높아 원래 대출이 쉽지 않은 곳이었다. 그런데 최근 정부 규제가 심해지면서 집값 전망에 대한 불안감까지 더해져 거래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호가에서 5000만원~1억원정도 낮춘 ‘급매’라면 거래가 될 수 있겠지만, ‘급매’가 아닌 이상 거래가 어렵다”고 말했다.
하반기 들어 갭투자자가 급증하면서 거래량이 치솟았던 북구지역 아파트 거래도 잠잠해졌다. 울산 북구 천곡동 일대 부동산 관계자는 “7월부터 10월 초까지 투자자들이 많이 다녀갔지만, 지금은 조용하다”면서 “올해 초와 비교해 매도호가가 매우 높아졌고, 투자자들이 매입한 아파트를 전세로 돌리면서 전세물량은 많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지역 중개업소와 전문가들은 당장 집값이 떨어지진 않겠지만, 시장의 관망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아울러 다음 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과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 추가 인상이 예상되는 만큼 집값이 조정기를 거칠 것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울산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대출이 필요한 사람들은 서민들인데 DSR로 문턱을 더 높이면 결국 서민들만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면서 “지난해 새 임대차법 시행으로 전셋값을 두 배로 올려놓더니, 이젠 대출을 막아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까지 어렵게 하고 있다. 서민들만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