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부산대 ‘분교’ 추진 의사”
전호환 동남권발전협의회 상임위원장 겸 부산대총장 경상일보 인터뷰
지역균형발전 위해선 대학-지역 상생협력 중요
6대 광역시 유일 국립종합대 없어 필요성 공감
이공계 발달한 부산대, 산업도시와 시너지 전망
“울산시 구체적 제안땐 실현방법 적극 모색할 것”
울산을 방문한 전호환(61·사진) 동남권발전협의회 상임위원장 겸 부산대학교 총장이 3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부울경 지역(동남권) 공동발전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대학과 지역의 상생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나서준다면 (울산에)부산대학교 ‘울산캠퍼스’나 ‘분교’를 추진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혀 주목된다.
이와 관련 울산시의 대학설립TF팀은 올들어 부산대학교를 찾아 울산캠퍼스나 분교 설치에 대한 부산대측의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는 별도로 울산시는 교육재단을 소유한 부산권의 유력건설업체와도 울산에 대학설립을 협의중(본보 10월25일자 1면)인 것으로 알려져 어느쪽이든 가시적인 성과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달 부산에서 발기인총회를 갖고 부산·울산·경남 3개 지역 21명의 공동위원장체제로 출범한 민간주도협의체 ‘동남권발전협의회’의 상임위원장을 맡고 있는 전 총장은 이날 경상일보를 방문한 자리에서 “울산은 인구가 120만명에 가까운 6대 광역시인데도 유일하게 ‘국립종합대학(유니스트는 이공계특성화대학)’이 없다”며 “지역 우수인재의 역외유출을 막고 울산의 미래성장을 위해 종합대학 형태의 국립대학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전 총장은 “전국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국립대학을 유치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울산은 해마다 수천명의 고교졸업생이 대학진학때문에 지역을 떠나고 있어 (울산은)지역인재 양성이 어느지역보다 필요한 곳”이라며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지역균형발전과 울산의 미래를 위해 울산시가 대학유치에 전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전 총장은 “울산의 꿈(대학유치)은 울산시민들이 먼저 꾸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 시민들의 염원을 바탕으로 울산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준다면 부산대 총장으로서 부산대 ‘울산캠퍼스’나 ‘분교’ 설치에 적극 나서겠다”며 “지역대학과 지역사회간 상생협력은 수도권 일극체제(집중화)에 맞서 부울경 동남권이 지역균형발전 문제를 주도적으로 풀어갈 수 있는 (전국의)중심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울산시에서도 대학 유치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다”며 “울산시에서 구체적인 제안과 협의를 요청해오면 캠퍼스나 분교 설치에 대한 실현가능한 방법을 함께 적극 모색할 계획”이라고 했다. 부산대는 현재 밀양과 양산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전 총장은 “울산은 인구 120만명에 국내 최고의 산업도시이자 제조업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이공계가 발달한 부산대학교의 교학 위상과 결합되면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며 “만약 캠퍼스와 분교설치 협의가 된다면 단순한 캠퍼스 차원을 넘어 독립적 대학형태인 분교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분교로 운영되면 부총장을 비롯해 교수진과 학생은 물론 대학운영인력이 울산캠퍼스에 상주해 본교의 통제나 관리에서 상당부분 벗어나 사실상 독립적인 체제로 운영된다고 전 총장은 설명했다.
이처럼 울산시가 대학유치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으나 단기간에 실제적인 성과를 내기는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현재 49만명인 대입정원을 2023년까지 40만명으로 축소하는 등 대학구조조정 여건 속에서 현실적으로 분교나 캠퍼스 수준이라도 대학설립 건의가 받아들여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울산시가 이들 대학을 유치하려면 부지매입비와 건축비 등 최소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의 소요자금 중 상당액을 제공해야 하는데 울산시의 재정상황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점도 가시적 성과를 내는데 한계로 지적된다.
한편 울산시는 이들 대학과의 접촉 외에도 대학설립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시는 지난 10월 대학유치 태스크포스(TF) 회의를 통해 울산시의 인력수요에 부합하는 학과의 일부 이전을 통한 다수대학 공동캠퍼스 모델 검토, 울산시가 대학건물을 직접 지어 타지역 대학의 이전이나 분교 유치 등 다수의 대학이 들어올 수 있는 공동캠퍼스 구상 등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김봉출·최창환기자